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 공반품으로 본 조선시대 도기의 문양과 기형변천

이용수 1520

영문명
Morphological and decorative pattern changes of Joseon dynasty’s earthenwares based on the analysis of accompanied artifact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태홍(Taeh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2호, 151~18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도기는 토기, 자기, 기와 등이 고고학 또는 미술사학에서 중요한 연구자료로 이용된 것에 비해 명확한 개념이나 편년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지역적으로 한정되거나 문헌을 분석하여 옹기의 개념과 지역적 특징을 밝히는 것에 무게 중심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논문에서 언급하지 못하였던 편년자료로서의 자기분석을 바탕으로 도기가마의 운 영시기를 설정한 후 도기가마의 출토품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 자기가 출토되지 않은 도기가마의 도기와 기 종, 기형, 장식기법 등을 상호 비교하여 조선시대의 도기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도기의 편년을 설정한 결과, 조선시대 도기가마에서 출토된 도기는 형태와 문양에 따라 크게 4개의 단계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Ⅰ기(15세기)는 격자문, 장군, 장신호 등 고려시대 도기의 전통이 강하게 이어져 내려오는 시기이며, Ⅱ기(16세기)는 15세기 전반의 고려시대 도기전통이 완전히 사라지고 새로운 도기 형식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Ⅲ기(17세기∼18세기 전반)는 기형과 장식기법 등이 단순화•간결화 되는 시기이며, 마지막으로 Ⅳ기(18세기 후반∼20세기 전반)는 옹기 또는 오지그릇으로 불리는 독특한 조선시대의 도기가 정립되어 현재의 옹기로 이어지는 시기이다. 이처럼 이 논문은 조선시대 도기의 이해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편년으로 편년이 설정 되지 않은 도기가마의 운영시기를 구체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Although potteries, porcelains and roof tiles have served as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in archaeology and art history, no clear concepts or chronological seriation of Joseon dynasty’s earthenwares have yet to be suggested.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fined to certain localities or have focused on defining concepts and identify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ottery by literature research. In this study, the excavated artifacts from earthenware kilns are dated and are analyzed based on the unprecedented porcelain analyses which established a chronological sequence.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rthenware of Joseon Dynasty are analyzed by making a comparison with potteries from the earthenware kilns without porcelains accompanied in terms of typology, its formation process, decoration technique and others. Potteries excavated from earthenware kilns of Joseon dynast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phases in a chronological sequence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and decorative motif changes. The first phase (15th Century AD) is the period when Goryeo dynasty’s tradition including elements such as the lattice pattern, the barrel shaped earthenware bottle, the tall earthenware bottle and other earthenware had continued. The second phase (16th Century AD) is the period when the earthenware traditions from Goryeo dynasty existed in the early 15th Century AD had disappeared. The third phase is characterized by the trend of being simpler and less decorative in shape and decorative patterns. Lastly, in the fourth period (17th Cen-tury to early 18th Century AD), the unique earthenware type of Joseon dynasty, called as ‘Onggi ’ or ‘Oji Geureut ’ was established, and its production has continued to create today’s Onggis.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ould be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n earthenwares of Joseon dynasty and to provide a chronological sequence to date the earthenware kilns and to assume their operation period by cross-dating.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공반 자기로 본 도기가마의 운영시기
1. 분청사기, 백자 공반 출토 도기가마
2. 백자 공반 출토 도기가마
Ⅲ. 조선시대 도기가마 출토 도기의 제작 양상
1. 자기 공반 출토 도기가마의 제작양상
2. 기타 도기가마의 제작양상
Ⅳ. 조선시대 도기의 시기별 특징
1. 조선시대 도기가마의 출토기종과 문양구성
2. 조선시대 도기의 기형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홍(Taehong Kim). (2016).자기 공반품으로 본 조선시대 도기의 문양과 기형변천. 한국상고사학보, (92), 151-186

MLA

김태홍(Taehong Kim). "자기 공반품으로 본 조선시대 도기의 문양과 기형변천." 한국상고사학보, .92(2016): 151-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