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인 할미산성의 유적 명칭에 대한 검토

이용수 0

영문명
A review of the name of the remains of Yongin Hallmi Fortress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박종욱(Jong-Uk Par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6輯, 135~16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용인 할미산성의 명칭과 관련한 여러 논의와 조선시대 각종 자료를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사적의 지정명칭 부여에 관한 일반 지침」과 사적 지정 사례를 중심으로 유적의 사적 지정명칭을 검토한 글이다. 기존에 『대동지지』의 姑城·禪長山古城, 『증보문헌비고』의 姑母城을 할미산성의 原 명칭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지리지 및 문헌 기록을 분석한 결과, 姑城·姑母城이라는 명칭은 인근의 寶蓋山城과 관계되는 口傳에서 비롯된 것으로, 용인 할미산성과 연관시켜 볼 만한 직접적인 근거는 찾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禪長山古城은 조선시대 각종 지도로 볼 때 현행 지도의 향수산에 소재했던 성곽으로 파악되므로, 현재 할미산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보개산·석성산에 대한 각종 자료를 비교·검토하면, 흥미롭게도 기록 간의 차이점이 발견된다. 지리지 등 문헌 기록의 경우, 寶蓋山과 石城山은 동일한 산을 가리키는 이칭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조선시대 각종 지도류에서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확인되는데, 하나는 문헌 기록처럼 석성산이 보개산의 이칭으로 표기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보개산과 석성산을 구분·분리하여 표기한 것이다. 그중 후자를 분석한 결과, 조선 후기 어느 시점부터 보개산과 석성산을 구분·분리해서 보는 인식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는데, 이들 자료의 석성산이 보개산 북쪽 인근에 위치한 용인 할미산성과 관계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렇듯 석성산성이 기록상 할미산성과 관련되는 가장 오래된 명칭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보개산성의 공식적인 유적 명칭이 석성산성이므로, 용어 사용 및 자료 이해의 측면에서 석성산성을 유적 명칭으로 지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국가유산청의 「사적의 지정명칭 부여에 관한 일반 지침」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안을 검토한 결과, 소재지 및 소재 山을 기준으로 ‘용인 마성리산성(麻城里山城)’과 ‘용인 노고성(老姑城)’이라는 명칭을 제시해 볼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일제강점기의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라는 자료적 근거와 구전 설화 등의 역사성을 감안할 때, 용인 노고성(老姑城)이 좀 더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지침」 제1조의 내용을 최대한 적용한다면, 麻姑 설화·용인 구성 일대의 지역색과 역사적 성격을 대중에게 좀 더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용인 할미산성[老姑城]’이라는 한글 표기가 사적 지정명칭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records from the Joseon Dynasty and various discussions related to the name of Yongin Halmisanseong Fortress, and examines the designated names of historic sites, focusing on the “General Guidelines for Naming Historic Sites” and “Cases of Historic Site Designation.” Previously, there was an opinion that 姑城·禪長山古城 from “Daedongjiji” and 姑母城 from “Jeongbomunheonbigo” were the original names of Halmisanseong. However,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ographical records and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show that the names 'Goseong, Gomoseong' originated from oral tradition related to the nearby 'Bogaesanseong', and it is difficult to find direct evidence to link it to Yongin Halmisanseong. In addition, since the 禪長山古城 is identified as a castle located on Hyangsu Mountain on the current map when examining various maps from the Joseon Dynasty, it is understood to be unrelated to the current Halmisanseong Fortress. Meanwhile, when comparing various records on Bogae Mountain and Seokseong Mountain, interesting differences between the records are discovered. In the case of literary records such as geographical book, Mt. Bogae and Mt. Seokseong appear as different names for the same mountain. On the other hand, in various maps of the Joseon Dynasty, it is largely written in two ways: one is that Mt. Seokseong is written as another name for Mt. Bogae, as in literary records, and the other is that Mt. Bogae and Mt. Seoksoeng are written separately. Analysis of the latter maps revealed that Mt. Bogae and Mt. Seokseong began to be recognized as different mountains at some poi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at Mt. Seokseong which appers on these maps, is likely related to the Halmi Mountain Fortress in Yongin, located to the north of Mt. Bogae. Although Seokseongsanseong is presumed to be the oldest name related to Halmisanseong according to records, the official name of the current Bogaesanseong is Seokseongsanseong, so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designate Seokseongsanseong as the official name of the Halmisanseong in terms of terminology usage and data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reviewing several options based on the Korea Heritage Service's “General Guidelines for Naming Historic Sites”, we were able to suggest the names “Yongin Maseong-ri Mountain Fortress (麻城里山城)” and “Yongin Nogo Fortress (老姑城)” based on the location and the mountain on which it is located. Among these, considering the material basis of the “Joseon Treasures and Historic Sites Survey Data”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ral folktale, Yongin Nogo Castle is considered more plausible name. Furthermore, if we apply the contents of Article 1 of the “General Guidelines for Naming Historic Site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the Korean spelling, “Yong-in Halmi Sanseong” is thought to be the most appropriate name for the historic site as it can more intuitively conve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ago’s folktale and the regional color of Guseong in Yong-in.

목차

Ⅰ. 머리말
Ⅱ. 姑城·姑母城·禪長山古城에 대한 검토
Ⅲ. 보개산·석성산의 위치와 할미산성의 ‘原 명칭’
Ⅳ. 용인 할미산성의 유적 지정 명칭 검토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욱(Jong-Uk Park). (2024).용인 할미산성의 유적 명칭에 대한 검토. 선사와 고대, (), 135-164

MLA

박종욱(Jong-Uk Park). "용인 할미산성의 유적 명칭에 대한 검토." 선사와 고대, (2024): 135-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