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곽유산으로서 용인 할미산성의 가치와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Value and Meaning of Hallmisanseong Fortress in Yongin as Fortress Heritage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윤성호(Sung-Ho Yu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6輯,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강유역의 신라 산성과 용인 할미산성을 비교하여 성곽유산으로의 특징과 가치를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신라는 한강유역을 차지하고 지배력을 강화하고자 축성을 시작하였다. 역사적 상황으로 유추해 보면 북한산주에서 남천주로 치소를 옮긴 무렵에 할미산성이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할미산성은 신라 산성의 입지와 유사하며, 규모는 중간급에 해당한다. 또한 할미산성의 축조수법은 신라성의 보편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할미산성의 축조와 관련하여 면석의 특징과 축성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할미산성의 외벽은 변성암계 할석을 거칠게 치석하여 바른층쌓기를 하였고, 공극은 쐐기돌로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부정형의 장방형 면석으로 축조하여 수평줄눈이 맞지 않는 이른 시기의 형식과 구별된다. 할미산성의 면석은 세장방형이나 장방형의 판석에 가깝고 수평줄눈을 맞추어 쌓았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서 6세기 후반을 전후하여 초축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할미산성은 7세기 중반경에 폐성되었기 때문에 한 세기 정도의 축성기술을 그대로 보여주는 학술적 가치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할미산성의 내부에서는 제의시설로 판단되는 다각형건물지와 방형석축시설이 확인되었다. 할미산성의 다각형건물지는 한강유역의 이성산성이나 망이산성의 다각형건물지보다 조성시기가 이르다. 게다가 현재까지 확인된 신라 다각형건물지 중에서도 가장 조성시기가 빠르다는 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할미산성은 6세기 중후반을 대표하는 신라의 성곽유산으로서 희소성, 상징성, 대표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의 가치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he fortress heritage by comparing the Shilla Fortress in the Hangang River basin with the Yongin Halmisanseong Fortress. Silla began constructing the fortress to occupy the Han River basin and strengthen its control. Halmisanseong Fortress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around the time the administrative center was moved from Bukhansanju to Namcheonju, considering the historical situation. Halmisanseong Fortress is similar to the location of the Silla fortress, and the scale is intermediate.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Halmisanseong Fortress shares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Silla Fortress.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of Halmisanseong Fortres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wall stones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 wall stones of Halmisanseong Fortress are elongated or rectangular flagstones and are stacked in horizontal joint. These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Silla Castle in the late 6th century. Since Halmisanseong Fortress was closed around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it has secured an academic value that shows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about a century. In addition, inside Halmisanseong Fortress, polygonal building sites and square stone building facilities that are judged to be the remains of a polygonal building were identified. The polygonal building sites of Halmisanseong Fortress are constructed earlier than the Iseongsanseong Fortress in the Han River basin or the polygonal building sites of Mangisanseong Fortres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the earliest among the Shilla polygonal building sites confirmed to date. Therefore, Halmisanseong Fortress is a castle heritage of Silla representing the mid-to-late 6thcentury, and is a fortress that has sufficiently secured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n that it secures scarcity, symbolism, and representa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한강유역 신라 산성의 조사 현황
Ⅲ. 용인 할미산성의 조사성과와 특징
Ⅳ.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서 용인 할미산성의 가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성호(Sung-Ho Yun). (2024).성곽유산으로서 용인 할미산성의 가치와 의미. 선사와 고대, (), 5-38

MLA

윤성호(Sung-Ho Yun). "성곽유산으로서 용인 할미산성의 가치와 의미." 선사와 고대, (2024):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