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한성기 토성의 다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ompaction of Earthen Fortifications during the Baekje Hanseong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김봉근(Bong-Geun Kim)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6輯, 215~24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짐(Compaction)은 흙이 압축되어 단단해지는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과거 인류가 혈거 생활에서 벗어나 흙과 나무, 돌 등의 자연 자원을 활용하여 성, 제방, 주거지, 도로 등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해 낸 토목기술로 토축구조물 축조의 근간이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대 축성기술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 ‘다짐’이라는 축성기술의 기초에 주목하여 고고학 조사가 이루어진 백제 한성기 토성의 다짐토와 문헌 기록을 통해 성토재와 다짐 도구, 다짐 방식, 그리고 다짐 공정 등을 검토하였다. 백제 한성기 토성의 다짐토를 검토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짐은 ‘흙의 채굴’ → ‘흙의 선별과 배합’ → ‘다짐과 양생(養生)’ 3단계의 공정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각 토성이 위치한 지역과 지질학적으로 유사한 토양 분포지에서 흙을 채굴하거나 환호나 해자 조성 과정에서 채굴된 흙을 이용하거나, 또 환호나 해자에서 채굴된 흙이 부족한 경우에는 성토재로 적합한 흙이 분포하는 곳에서 조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채굴된 흙은 선별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동안 토성이 사질토와 점토로 축조되었다는 보고서의 내용과는 달리 사질토 위주로 선별하여, 다짐토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흙을 배합하여 사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은 선별·배합된 흙을 쌓아 다지는 단계로, 목제와 석제 등 다양한 형태의 다짐 도구로 다져 흙 입자 사이의 공기와 수분을 배출함으로써 흙 입자 간 공극을 줄여 밀도를 높인다. 또한 이와 동시에 양생 과정을 통해 다짐토를 보호하여 견고성을 높이고, 나아가 성벽 전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다짐 관련 연구는 이제 시작하는 단계이다. 현재 다짐에 대한 고고학 자료는 물론 관련 문헌 기록에 대한 정리와 분석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다만 긍정적인 점은 축성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성벽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고고학 조사 방법 역시 큰 진전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고고학 조사와 연구를 통해 토성 축성기술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Compaction is a civil engineering technique that utilizes the property of soil becoming firm through compression. This technique, developed by ancient humans after moving beyond cave-dwelling, made use of natural resources like soil, wood, and stone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s by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fortresses, embankments, residences, and roads, forming the foundation for earthen structures. This paper focuses on the foundational compaction technology of fortress construction in order to understand ancient construction methods. Through archaeological examination of the compaction soil in the Baekje Hansung Period earthen fortresses, along with references from historical records, the materials, tools, methods, and processes of compaction were reviewed. The analysis of the compaction soil in the Baekje Hansung Period fortresses suggests that compaction involved a three-stage process: “soil excavation,”→“soil selection and blending,” → “compaction and curing of Compaction soil(養生).” First, soil would have been excavated from regions with similar geological characteristics to the area where each fortress was located or from the moats or ditches constructed around the site. If insufficient soil was available from these sources, additional soil appropriate for compaction would likely have been sourced from nearby areas. This excavated soil would then undergo a selection process. Contrary to previous reports stating that the fortresses were built with sandy soil and clay, it appears that sandy soil was primarily chosen and mixed with other types of soil to increase the volume and solidity of the walls. Finally, the selected and blended soil was layered and compacted, using various types of tools, such as those made of wood and stone, to expel air and moisture from between the soil particles, thus reducing voids and increasing density. Simultaneously, a curing process was employed to protect the compaction soil, enhancing its durability and ensuring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fortress wall. Research on compaction in this paper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both archaeological data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related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compaction. Nevertheless, research into construction techniques continues to progress, and archaeological methods for understanding fortress walls in three dimensions have also made significant advances. Through continue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nd research, we hope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ancient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 한성기 토성의 성토재
Ⅲ. 다짐 도구와 방식
Ⅳ. 다짐 공정(工程)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근(Bong-Geun Kim). (2024).백제 한성기 토성의 다짐 연구. 선사와 고대, (), 215-243

MLA

김봉근(Bong-Geun Kim). "백제 한성기 토성의 다짐 연구." 선사와 고대, (2024): 215-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