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세기 弁辰의 대외관계 - 『삼국지』 한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Foreign relations of the Bentin countriesin the 3rd centuries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저자명
- 윤용구(Yong-Gu Yun)
- 간행물 정보
- 『선사와 고대』76輯, 191~2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弁辰 諸國의 대외관계에 있어서 논란이 되는 몇 가지 사료 해석의 문제를 정리한 것이다. 첫째, 변진 12국이 마한의 目支國 辰王, 또는 辰韓의 辰王에게 ‘屬’ 했는지에 대한 논란이다.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마한의 진왕은 목지국을 다스렸다는 사실에 한정되며, 목지국 진왕이 변진 安邪國과 拘邪國 臣智에 하사한 듯 여겨진 ‘加優呼’는 변진 스스로의 칭호였다. 그리고 진한의 ‘辰王’은 ‘辰韓’ 혹은 ‘辰韓王’의 誤記라는 것이 최근 연구의 추세라는 점에서, 3세기의 변진은 마한이나 진한 어디에도 정치적으로나 대외 교섭에 있어서 독립적이었음을 분명히 하였다. 둘째, 변진 12국 사이의 통속 관계 문제이다. 변진 12국은 호구 수에 의해 大ㆍ小國으로 구분되었고, 拘邪國과 安邪國은 4~5千家(戶)를 거느린 대국의 수장이자, 일정 수의 소국을 屬國으로 거느릴 수 있는 존재였다. 하지만 소국이 대국에 속했더라도 중국 군현과의 대외 교섭권을 제약받지는 않은 존재로 이해하였다. 셋째, 구야국과 안야국이 大國으로 성장하고, 변진의 양대 세력으로 군림한 배경에는 2세기 후반 낙랑군 남부의 황폐화로 육상교통로가 쇠퇴하고, 公孫氏政權에 의해 신설된 帶方郡이 水路를 통한 삼한과의 교섭이 활성화된 데 힘입은 것이었다. 그러나 조위가 공손씨 정권을 타도한 238년 이후로는 낙랑군이 내륙 교통로를 다시 복원하면서, 대방군의 수로 교통와 함께 낙랑ㆍ대방 ‘二郡’이 弁辰과 교섭하는 시대를 열었다.
영문 초록
① There was a controversy that the 12 countries of Baengjin were subordinated to King Jin of Mahan or King Jin of Jinhan. However, there is no literary basis that King Myeongju had an influence on Jinhan and Benjin. In addition, King Jin of Jinhan was a misunderstanding due to the change of letters between Jinhan and King Jinhan since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re is no trace of Benshin being politically subordinated to foreign relations anywhere in Mahan or Jinhan.
② In addition to the external relations of Benzin, the existence of countries, towns and villages that understand the network in the region, and towns and villages were examined. The countries concerned and the countries concerned were heads of a large country with 4,000 to 5,000 families, and they were able to lead a certain number of small countries as the provinces. However, even if a small country belonged to a large country, it was not restricted from the right to negotiate with foreign countries.
③ In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the countries concerned and the countries concerned grew into powerful powers and reigned as the two major powers of Benjin. This is du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external trade network through the waterway as the Bando Army, established by the newly established Gongsun administration in the late 2nd century, is in charge of negotiations between Samhan and Japan. In 238, when Wei Guo entered, inland transportation routes through Nakrang-gun were restored. It was caused by political confusion, such as the disappearance of Seojin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in the late 3rd century The function of the trading network of the Benjin society has also entered a period of stagn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변진과 ‘辰王’
Ⅲ. 변진의 大ㆍ小國
Ⅳ. 변진의 郡縣交涉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