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인 할미산성 축성술의 특징과 변천

이용수 0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of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Yongin Halmisanseong Fortress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백영종(Young-Chong Bac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6輯, 69~9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용인 할미산성은 1998년부터 지표조사를 시작으로 최근까지 7차에 걸친 정밀발굴조사, 그리고 2번의 학술대회를 통해 성벽의 축조방식이 확인되었고 6세기 중반부터 7세기 중반까지의 신라산성 축성법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즉, 할미산성은 약 100여 년간 사용되다가 폐성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당시의 신라 북진기와 관련되어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하는 과정에서의 신라 축성술을 살펴볼 수 있다. 성벽이 축조되는 지형은 능선부, 사면부, 곡간부, 평탄지 등으로 나누어진다. 산성은 지리적인 입지로 인하여 평지보다는 산지에 해당하므로 지형을 이용한 능선과 사면, 곡간에 축성된다. 할미산성의 성벽은 산성의 북쪽 정상부를 감싸 안으며 능선부에 성벽이 축조되었고 이후 남향한 사면부와 능선부를 따라 이어지며 가장 낮은 남쪽은 곡간부를 막거나 사면부를 활용하여 성벽이 축조되었다. 이 시기 신라 석축산성은 내외벽을 갖춘 협축식 성벽과 기저부 보강을 위한 보축성벽이 있으며, 성벽의 기저부 조성방식과 성내 시설물의 축조방식 등은 성벽 축조방식과 동일하다. 또한 지형에 상관없이 일정한 규격에 맞추어 성벽이 축성된 점 또한 신라 석축산성의 당시기 정형성을 나타낸다. 성곽의 변천은 재료에 따라 토축성 또는 목책성 → 석축성으로 이어지고 지형에 따라 테뫼식 → 포곡식형태로 변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화는 지형과 입지가 원인으로 크게 작용하였으며 축조방식의 변화도 가져온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에는 발달된 기술력을 동원하여 석축산성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축성술 또한 높고 수직에 가까운 성벽을 축조하게 된다. 기존에 조사된 신라 석축산성에서는 그동안 파악하지 못했던 토축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보은 삼년산성이나 문경 고모산성처럼 성벽 안쪽의 토축 흔적인데 이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토축산성에서 석축산성으로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며 신라 석축산성의 원형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Yongin Halmisanseong Fortress has been subject to seven rounds of detailed excavations since 1998, beginning with a surface survey.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ramparts has been confirmed at two academic conferences, providing important clues regarding the castellation techniques used to build Silla fortresses from the mid-6th to mid-7th centuries.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Halmisanseong Fortress was used for about 100 years and then abandoned provides a window into understanding the construction technology in Silla during the occupation of the Han River Basin given the nation’s advancing-north period at the time. The terrain on which the ramparts of the Halmisanseong Fortress were built can be divided into ridges, slopes, curves, and plains. Generally, fortresses are located more often in mountainous regions than in flatlands; to take advantage of the terrain, they are often built between ridges, slopes, and valleys. The ramparts of the Halmisanseong Fortress wrapped around the fortress’ northern summit and were constructed on the ridges; then, they followed the south-facing slopes and ridges. The lowest southern part was constructed by blocking the valley or utilizing the slope. The stony fortresses in Silla built during this period have narrow ramparts with inner and outer walls and supplementary ramparts to reinforce the base, with the same construction method used for the rampart base and the facilities in the fortress, etc. as the rampart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walls were built to a certain standard, regardless of the terrain, indicates the formalization of stony fortresses in Silla during this period. The transition from earthen or wooden castles to stony structures depends on the material, and from a terraced style to one that included valleys depended on the terrain. These changes are thought to have been driven largely by terrain and location, as well as relating to changes in construction methods. Later, with the use of advanced technical skills, stony fortresses took on a variety of form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was expanded to cover the construction of high, nearly perpendicular ramparts. Therefore, the previously investigated stony fortresses in Silla require a re-examination of their previously unidentified earthworks. For example, in Samnyeonsanseong Fortress in Boeun and Gomosansanseong Fortress in Mungyeong, there are traces of earthworks inside the ramparts that must be reinterpreted. In this manner, we can explore the change from earthen to stony fortresses and better understand the prototype of stony fortresses in 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용인 할미산성 축성술의 특징
Ⅲ. 용인 할미산성 축성술의 변천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영종(Young-Chong Back). (2024).용인 할미산성 축성술의 특징과 변천. 선사와 고대, (), 69-95

MLA

백영종(Young-Chong Back). "용인 할미산성 축성술의 특징과 변천." 선사와 고대, (2024): 69-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