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인 할미산성 內 신라 수혈주거지의 시기와 성격

이용수 0

영문명
The Timing and Nature of the Pit Dwellings Inside the Halmi Sanseong Fortress in Yongin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Mid-7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강진주(Jin-Joo Ka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6輯, 97~13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용인 할미산성 내 유구 중 가장 많은 수가 밝혀진 수혈주거지에 대한 분석과 입지, 유구간 중복을 통한 선후관계, 주요출토유물 등을 살펴보았다. 140여 기의 유구 중 수혈주거지를 주목한 이유는 가장 수량이 많다는 것도 있으나 성 내부의 모든 조사구역에 분포되어 유구간의 중복 빈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이에 성내 유구에 대한 시기와 성격에 대해 보다 세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먼저, 주거지 형태를 분류하고 면적을 계산하여 초소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취사 및 난방시설물인 부뚜막과 구들을 유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할미산성은 신라 후기 수혈주거지의 경향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당시 신라인들의 주거 문화가 새롭게 이식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할미산성에서는 규모가 초소형인 주거지가 소형 다음으로 많은 수를 점하고 있다는 것과 구들의 위치가 다른 점이 확인되었다. 수혈주거지와 유구들 간의 중복관계를 통해, 할미산성에서는 최소 2차례 이상 성내 유구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거지는 다각형 건물지, 방형건물지, 굴립주건물지 등 지상으로 조성되는 건물지의 선행유구로 확인되어 수혈주거지와 건물지들간 선후관계를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남성벽 인근에 배치된 목책열과 북쪽구간의 원형수혈이 성벽보다 이른 시기에 조성된 유구로 확인되어 성벽보다 선행하는 유구가 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할미산성은 출토된 토기의 문양을 통해 6세기 후반~7세기 중반경이 중심시기로 파악된다. 하안은 유물은 3차-1·2호 구들과 3차-1호 매납유구로 통해 10세기 전후로 추정되며 이는 석성산성과의 관계에서 해석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상한은 원형수혈의 조성시기가 언제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한성백제기 국가적 통제 하에 둔 저장시설로 추정되는 마북동 442번지 유적의 원형수혈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주목된다. 이처럼 유구간의 중복관계를 통해 성벽보다 이른 시기의 유구가 확인되었고 만약 원형수혈유구의 시기가 빨라진다면 유적과 산성으로 분리해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할미산성의 제의는 수혈주거지보다 후행하는 지상 건축물들과 더 큰 관련이 있다. 다각형 건물지와 방단적석유구에서 출토된 추정 통형기대편 등을 통해 제의적 성격으로 보고 있는데 7세기를 전후한 한강유역 정세로 보아 풍요보다는 전쟁 승리를 염원하기 위한 국가적 사활이 걸린 제의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nalysis and location of the pit dwellings,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ost numerous remains inside the Halmi Sanseong Fortress in Yongin. It also explores the chron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remains, focusing on overlapping structures and key artifacts excavated. Pit dwellings were chosen for this study among approximately 140 remains because of their prevalence and wide distribution throughout all survey areas within the fortress. This high frequency of overlap between the remains allows for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timing and nature of the relics within the fortress. First, the remains are classified into tiny, small, medium, and large-sized dwellings based on residential forms and calculated areas. Cooking fireplaces (called Butumak) and heating facilities (the hearth called Gudle) were also identifi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Halmi Sanseong exhibits trends characteristic of Silla’s late-period pit dwellings, suggesting the transplantation of the Silla residential culture to this area. Notably, it was observed that the number of tiny-scale dwellings was the second largest after small-scale dwellings, with differences in hearth placement across dwellings. Through an analysis of overlapping relationships between pit dwellings and other remains, evidence suggests that there were at least two distinct phases of change within the fortress. The pit dwelling sites were identified as preceding remains to the above-ground building sites, which included polygonal, square, and post-built building sites. This clearly illustrates a sequence between pit dwellings and subsequent building structures. Additionally, wooden fence rows near the southern wall of the fortress and a circular pit in the northern section were identified as remains predating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wall. These findings suggest the existence of earlier remains predating the wall itself. The Halmi Fortress is estimated to have been constructed between the late 6th century and mid-7th century, based on patterns observed on excavated earthenware. The latest period identified for these remains is around the 10th century, particularly through No. 1 and No. 2 Gudles from the third excavation and No. 1 buried remains of the same phase. These findings should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Seokseong Sanseong Fortress. The earliest period, however, is more variabl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circular pit dwelling. Particularly notable is its close resemblance to the circular pit dwelling at the 442 Maebuk-dong site,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a state-controlled storage facility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Such overlaps reveal remains from earlier periods than the fortress wall, and if the circular pit dwellings predate the wall, they may warrant separate examination distinct from the fortress ruins. Meanwhile, the Halmi Sanseong Fortress appears to b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later above-ground structures rather than the earlier pit dwellings. The polygonal building site and excavated cylindrical stand found within a structure featuring a stone-tiered square pedestal suggest a ritual site. It is believed that national rituals of critical importance were conducted here, likely to wish for victory in war rather than general prosperity, given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Han River basin in the 7th 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유구 분포 및 수혈주거지 분석
Ⅲ. 주거지의 입지와 중복관계
Ⅳ. 유구의 변화양상으로 본 시기와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주(Jin-Joo Kang). (2024).용인 할미산성 內 신라 수혈주거지의 시기와 성격. 선사와 고대, (), 97-134

MLA

강진주(Jin-Joo Kang). "용인 할미산성 內 신라 수혈주거지의 시기와 성격." 선사와 고대, (2024): 97-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