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의 ‘주선율(主旋律)’ 문예정책과 ‘반부패 소설’ 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A Study on ‘Main melody’ literary policy and ‘Anti-corruption novel’ of China
발행기관
한국부패학회
저자명
이태준(Lee Tae Jun)
간행물 정보
『한국부패학회보』제18권 제3호, 157~17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80년대 이후 중국에서 개혁개방 정책이 실시된 이래, 부정부패 문제는 민중들의 관심이 집중된 시대적 화제가 되었으며 일부 문인들의 창작에 반영되어 이른바 ‘반부패 소설’이 탄생하게 되었다. 반부패 소설은, 개혁개방 이후 갈수록 중국 사회 곳곳을 뒤덮고 있는 배금주의의 만연 속에 권력자들이 우월한 지위를 이용하여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권력의 부패를 고발한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관료사회의 생태와 관리의 생활, 금전과 권력 교환의 부조리를 고발하였고, 관리들의 내면세계와 인성을 묘사해내었다. 즉, 공직자들이 권력을 운용하는 과정 속에서 저지르는 권력남용과 불법행위가 경제 부패로 이어지며 정치권력의 사유화가 작풍의 부패로 이어지는 현상을 파헤치기 시작한 것이다. 언론 및 출판의 자유가 제약되어 있는 중국 사회에서 문인들의 자발성과 순수한 신념에 따라 반부패 문학이 성립된 것은 아니다. 중국의 부정부패는 국가의 운명을 좌지우지할만한 심각한 문제가 되어 버렸고, 이에 체제 전복의 위협마저 느낀 중국 정부에서는 법률과 제도의 개선 뿐 아니라 문예를 수단으로 삼는 부패 방지 대책에 착안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반부패 문학은 이른바 ‘주선율’ 문학, 즉 사회의 주류를 이루는 이념 및 가치를 대변하는 문학의 범주에 진입하게 된 것이다. ‘주선율 문학’은 한 시대의 사회 및 역사 발전의 주요한 추세와 본질적 규율, 그리고 주류 사상 및 이념을 체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할 수 있겠다. 1990년대 이후의 주선율 문학, 즉 정책으로서의 문학은 개혁개방 이전의 폭압적인 매커니즘이 아닌 격려의 매커니즘 속에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가 설정해 놓은 틀 안에서 지배계급의 수요를 만족시키는 문학 작품 생산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주선율문학의 한 카테고리를 이루는 반부패소설은 현실 속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과 근원에 대한 탐색보다는 통치권 주류 이데올로기의 구현을 우선시해야 하는 태생적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는 것이다. 진정한 부패는 공권력을 소유하고 집행하는 체제 내부의 세력들로부터 비롯된다는 사실에 눈을 감은 채, 공산당원으로부터 청백리를 발견할 것을 강요하는 반부패소설이 추구하는 바는, 사실상 인민을 위한 복무도 사회주의를 위한 복무도 아닌, 정권에 대한 눈치 보기와 비위맞추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영웅의 등장에 의한 사건 해결로 말미암아 반부패소설의 결말은 언제나 통쾌하고 뒤끝이 없다. 그러나 작가의 허약한 이상주의적 신념과 정권의 문예 정책이 만들어낸 소설의 허구성은 현실 속 부패의 뿌리를 감추고 왜곡한다. 결국 부패 문제의 해결은 작가의 상상과 은폐 속에서만 완성될 수 있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작가는 국가의 명을 받들어 지배계급 이데올로기의 합법성을 입증해주는 하수인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Since the launch of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ies in 1980, the corruption problem became a pivotal issue that gained the focus of the contemporary public and was therefore reflected in the literary works of various artists. These literatures, called the anti-corruption novels, mainly accused the rulers who utilized their superior positions to pursue private profits in the spread of Mammonism. In addition, the novels criticized the hideous nature of bureaucracy, the corrupt daily lives of the leaders, and the irrationality of exchange of finance and authority. Moreover, government employees’ nefarious inners and personalities are illustrated in the creations. In other words, the writers initialized to examine the abuse of political power and illegal activities committed by public officers that led to political corruption. Obviously, the anti-corruption literature was not established by the spontaneity or genuine conviction of the writers. This is attributed by the fact that the Chinese society severely controlled the media and the freedom of press. The Chinese government was soon threatened by the fact that corruption already turned into a crucial problem which could affect the fatal of the nation and lead to the destruction of the social system. Thus, it began to take extensive measures, such as rectifying laws and policies and more importantly, manipulating literature, in order to prevent corruption. Anti-corruption literature thereby entered the “main melody” literature, representing the mainstream of beliefs and values. Main melody literature aimed to reveal the major trend, fundamental regulation, and mainstream thought of soci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ra. After the 1990s, the political literature played a significant role at satisfying the requirement of the governing class inside the convention set by the ideology of the rulers. Unlike the suppressing mechanism applied before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es, the mechanism in which the producers of these literary creations worked was encouraging. Hence, the anti-corruption literary was obliged to give priority to describe the ideology of authorities rather than criticizing the corrupt activities committed in reality. Ignoring the fact that the actual corruption emerged from the inner part of the organization that owned and practiced public power and forcing the readers to discover uprightness in communalists, anti-corruption novels sought to cringe to the government power instead of serving the public or Socialism. Owing to the appearance of heroes and solving problems, the endings of the novels are always trenchant. However, the fabrication due to authors’ feeble ideal convictions and the government’s literary policy concealed and distorted the root of corruption. The imaginary settlements of problems were completed in disguise and eventually the authors served as pawns that justify the mainstream ideology under the commands of the nation.

목차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Ⅱ. 반부패 소설의 주제, 인물형상 및 서사구조
Ⅲ. ‘주선율(主旋律)’ 반부패 소설의 가치 및 한계
Ⅳ. 맺는 말
參考文獻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준(Lee Tae Jun). (2013).중국의 ‘주선율(主旋律)’ 문예정책과 ‘반부패 소설’ 연구. 한국부패학회보, 18 (3), 157-175

MLA

이태준(Lee Tae Jun). "중국의 ‘주선율(主旋律)’ 문예정책과 ‘반부패 소설’ 연구." 한국부패학회보, 18.3(2013): 157-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