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간계량분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주택가격모형 비교에 관한 연구?

이용수 346

영문명
The Study of Comparison of Housing Price Models by Using Spatial Econometrics and GIS
발행기관
한국부동산학회
저자명
전해정(Haejung Chun)
간행물 정보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4輯, 46~56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간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특성가격함수와 공간효과를 고려한 공간시차모형(SLM)과 공간오차모형(SEM)을 이용해 주택가격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아파트실거래가격을 독립변수는 아파트 면적, 층수, 행정동별 인구밀도, 2차선도로 직선거리, 4차선도로 직선거리, 지하철역 직선거리, 공원 직선거리로 설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2013년으로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강남과 강북으로 하였다. 모든 지역에서 오차항의 공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한 SEM모형이 주택가격 추정시 가장 정확성이 높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결과,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 면적이 클수록, 층수가 높을수록, 공원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역세권 일수록 거래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로와의 가까울수록 거래가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강남이 다른 지역보다 공간적 종속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는 정책적 시사점은 정확한 주택가격의 추정이 국부와 가계의 부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므로 공간효과를 고려해 주택가격을 추정해 정확성이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정부당국자는 숙지해야 한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s ordinary least square (OLS) which is not considering a spatial effect, compared and analyzed the housing price model by using Spatial Lag Model(SLM) and Spatial Error Model(SEM) which are hedonic pricing model and spatial econometric analysis techniques. (2) RESEARCH METHOD The apartment real sale price is set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apartment size, the number of floors, population density by administrative districts, lineal distance of two lane road, lineal distance of four lane road, lineal distance of subway station, lineal distance of park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time range is 2013 and the spatial range is south and north of the Han river regions in Seoul. It is observed that SEM considering special autocorrelation of error terms in every region was the most suitable model. (3) RESEARCH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sales pric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ize of apartment , floors , distance to park and distance to station and sales pric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istance to street and it showed that there was a higher spatial dependence in the north of the Han river area than other regions. When the size of apartment (m²) increased 1%, actual sale prices for the apartment in the south and north of the Han River regions was increased by 0.82% and 0.86% each, which means that there is a premium for large size apartment. When the number of floor of apartment increases 1%, the actual sale price for the apartment increases 0.038%, 0.035%, and 0.044% in Seoul and south and north of the Han river areas which indicate that there is a premium for higher floors than lower floors. 2. RESULTS Political implication based 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that government officials need to be well aware of the fact that the accuracy improvement by estimating house price with considering spatial effect, for accurate estimation of housing price is very critical issue as it is tightly connected with national wealth and household economy based on the fact that 70% are houses shown in the analysis of property portfolio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실증분석
1. 자료설명
2. 분석모형
3. 분석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해정(Haejung Chun). (2016).공간계량분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주택가격모형 비교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64 , 46-56

MLA

전해정(Haejung Chun). "공간계량분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주택가격모형 비교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64.(2016): 46-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