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영아 대상 교육적 서비스 에 대한 현장 종사자들의 인식

이용수 325

영문명
Perceptions of Teachers on Educational Services to Infants with Special Need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남경욱(Nam Kyoung uck) 이은정(Lee Eun Jung) 신현기(Shin Hyun Ki)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0권 제3호, 169~19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4,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 및 보육계 현장 종사자들이 장애영아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조기개입 서비스에 대해 교육적 관점을 통해 조망함으로써 향후 보다 타당하고 충실한 장애영아 교육을 위한 방안들을 학계와 정부에 제언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계 11명, 보육계 10명의 현장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성립의 세 요소인 학습자(장애영아), 교육내용(교육과정 등), 교수자(장애영아 담당교사)에 관한 인식을 심층면접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전사한 350쪽 분량의 자료를 내용분석해 질문항목별로 결과를 도출했다. 결과는 자료손실을 줄이면서 동시에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히 전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고안한 표를 통해 제시했다. 주요 조사결과와 그에 따른 제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종사자들은 유아와 일반영아와 비교해 장애영아가 지닌 몇 가지 특수성을 진술했다. 연구자들은 관련 선행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지 못한 상황에 비추어 학계가 교육대상으로서의 장애영아 특성과 구체적 교수방법을 정립하는 노력이 시급함을 주장했다. 둘째, 장애영아 교육내용 및 기관교육 필요성과 관련해 현장 종사자들은 장애영아 특성에 적합한 교육 이외에도 가족지원과 주양육자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연구자들은 이것이 여러 분야의 공동접근이 필요한 문제이므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선도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셋째, 국가수준 장애영아 교육과정과 관련해 현장 종사자들은 그 필요성에 대해 양분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장애영아교육이 처한 현재 상황과 표준보육과정의 한계점을 토대로 국가수준의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개발 및 보급해야 함을 제기했다. 넷째, 표준보육과정에 보완하고 싶은 내용들과 관련해 연구자들은 향후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시 논의와 피드백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해야 함을 주장했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형태와 관련해 연구자들은 활용도 향상을 위해 현장중심 및 사용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함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장애영아 담당 교사의 자질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장애영아 담당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교수수정 지식과 기능을 강화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제언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educational services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arly intervention through educational perspective, and to give some proposals to the teachers and government for improved infant education with validity and fidelity. For the above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executed with 21 teachers on the three elements of education; learner(infant with special needs), educational contents(curriculum), and instructor(teacher). All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sed. The authors discussed and finally drew 58 categories. The author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academic community has to set up strategies and methods about teaching infants with special needs. Second, the government has to be more accountable to the other early intervention services.. Third, the government has to develop national level curriculum for them. Fourth,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should have forms that can be discussed and give feedback. Fifth, the curriculum should be site-centered and user-centered forms. Finally, the teachers who give educational services to infants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provided supports for enhancing knowledge and skills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경욱(Nam Kyoung uck),이은정(Lee Eun Jung),신현기(Shin Hyun Ki). (2015).장애영아 대상 교육적 서비스 에 대한 현장 종사자들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50 (3), 169-194

MLA

남경욱(Nam Kyoung uck),이은정(Lee Eun Jung),신현기(Shin Hyun Ki). "장애영아 대상 교육적 서비스 에 대한 현장 종사자들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50.3(2015): 169-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