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이용수 725

영문명
A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rrent Status and Content Valid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성아(Lee Seong a) 박승희(Park Seung Hee)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0권 제3호, 23~5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이해 교육 실행 현황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특수교사, 학부모 및 발달장애 학생의 세 집단의 응답을 통해 자기이해 교육 내용 구성요소의 타당화를 처음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65개 고등학교와 120개 중학교에 총 530부의 교사용ㆍ학부모용ㆍ고등학생용 질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334부의 응답 자료가 통계처리 되었다. 그 결과,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에 대하여 특수교사의 대부분(98.6%)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21.6%가 실행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필요성 인지 보다 그 실행은 저조한 현황을 보였다. 자기이해 교육 내용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특수교사 및 학부모의 응답을 요인분석한 결과 5가지 요인의 21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 21개의 교육 내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세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5개 요인의 중요도 응답은 학부모보다 특수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최근 특수교육의 실제에서 장애학생 본인의 적극적 참여가 강조되고, 진로ㆍ직업ㆍ전환교육이 더욱 중요한 관심사가 되면서 발달장애 청소년이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고 자기이해를 증진해야하는 필요성은 가중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의 적합한 실행을 위해 그 교육 내용의 구성요소를 처음으로 특수교사, 학부모 뿐 아니라 발달장애 학생 본인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이라는 민감하고 중요한 주제에 대해 전문가 및 학부모 관심의 증대를 촉구하며, 자기이해 교육 프로그램 고안에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제공하는 의의와 더불어 최근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이해 교육 실시의 가중된 필요성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self-understandi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o validate the contents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pondents to the survey include 3 group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high-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ata of a total of 334 respon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t-tests. First, almost all of the teachers answered the self-understanding education was needed, the main reason for that was to enhance student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steem. Second, from factor analysis of the responses on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content, 5 factors were derived and named. Third, the importance of each of 21 components of program content was all highly evaluated by all 3 groups. The importance scores of 5 factors and 21 components rated by the teache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arent group. In conclusion, 21 components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cceptance of disability were first socially validated and those components could be directly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per self-understanding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schools. Som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on the self-understanding education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vid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의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아(Lee Seong a),박승희(Park Seung Hee). (2015).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특수교육학연구, 50 (3), 23-52

MLA

이성아(Lee Seong a),박승희(Park Seung Hee).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특수교육학연구, 50.3(2015): 2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