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의 기자 인식

이용수 886

영문명
The Recognition of Kija in th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조원진(CHO, Won-Chin)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32권, 181~21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23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고려시대의 기자 인식을 살펴보며 帝王韻紀와 같은 후조선=기자조선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의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한시대에 기자동래설이 처음 등장한 이후 고구려가 평양지역을 차지하며 기자에 대한 신앙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것은 고구려가 기자를 선조로 생각한 낙랑유민들의 신앙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기록에는 없으나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기자에 대한 민간신앙이 제한적으로 내려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국가들은 고려를 기자와 고구려의 뒤를 이은 국가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고려는 외교적으로 기자를 강조하기도 했으나 이러한 표현은 외교적 수식에 그쳤고 실제 고려 내부에서도 기자가 조선의 왕이 되었거나 ‘기자조선’이란 인식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단군에 대한 기록들이 다양한 문헌에 전하고 있었고 단군의 정통이 고구려로 이어졌다는 인식이 있음을 보면 고려는 국초에 ‘단군(조선)-부여-고구려’로 이어지는 우리 역사의 체계가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체계에서 기자의 존재는 들어갈 여지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기자에 대한 국가 제사는 숙종대부터 있어왔으나 고려시대에 그것은 雜祠에 속했고 제대로 시행된 것 같지 않아 箕子는 막연한 ‘敎化之主’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고려 중기에 김부식이 묘청의 난을 진압하고 신라 중심의 새로운 역사서를 만들면서 구체적으로 고조선사를 다루지는 않았으나 단군보다 기자를 강조한 듯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후 三國遺事는 기자를 인정하지 않고 왕검조선이 1,908년 동안 계속 내려왔다고 인식했으나 帝王韻紀는 기자 동래 이전에 이미 단군의 통치가 끝났고 이후 기자가 세운 후조선이 이어져 왔다고 보았다. 고조선의 역사를 단군과 기자 약 1,000년씩으로 나누어 양자를 동시에 인정한 일종의 타협적인 인식이 등장한 것이다. 이후 성리학이 도입된 원간섭기에 기자는 더욱 강조되면서 명실상부한 후조선의 시조로 한국사에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기자조선설은 실제 역사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지만 사상적으로 큰 영향을 주게 된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영문 초록

This paper looks at the Kija recognition of the Goryeo Dynasty. Kija Joseon notion will reveal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Kijadongnaeseol this first appeared in the Han era. Nakrang had the one thought Kija self ancestors. Since, Pyungyang area has been limited Kija faith traditions. The neighboring countries are related Goryeo and Kia. However Kija were highlighted only in diplomatic relations. Goryeo people when referring to Joseon, thought Dangun. Dangun believed that this succession in Koguryo laying Joseon. Gusamguksa is contained is this idea of the early Goryeo days. However, the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Samguksagi is a cash Dangun said Kija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n Samgukyusa did not recognize Kija Joseon. Dangun ruled the country will continue during 1908. On the other hand Jewang Ungi saw Dangun short reign of about 1,000 years. And Kija the founding of Joseon is the kingdom, and he thinks that after over 928 years. Neo-Confucianism has been introduced Kija was further emphasized. Kija was assumed that the founder of Hu Joseon (Kija Joseon) in Joseon Dynasty. It is possible Kija came to Joseon area. However, there may be the ruler of Joseon. Kija Joseon did not exist historically. Nevertheless, as it was the great ideological influence.

목차

Ⅰ. 서론
Ⅱ. 고려 전기의 기자 인식
Ⅲ. 고려 후기의 기자 인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진(CHO, Won-Chin). (2015).고려시대의 기자 인식. 한국사학사학보, 32 , 181-214

MLA

조원진(CHO, Won-Chin). "고려시대의 기자 인식." 한국사학사학보, 32.(2015): 181-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