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해군, 두 개의 상반된 평가
이용수 9230
- 영문명
- Two Conflicting Views of King Kwanghae in Korean Historiography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저자명
- 계승범(KYE, Seung-Burm)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학사학보』제32권, 493~52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23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광해군(r. 1608-1623)은 한 조카가 주도한 계해정변(인조반정)으로 왕좌에서 강제로 축출되었다. 정변 바로 다음날 대비의 이름으로 반포된 반정교서에 따르면, 정변의 명분 곧 광해군의 죄상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있다. 하나는 군부의 나라인 명을 배반하고 이적인 후금과 화친을 도모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후를 핍박하고 형제를 살해했다는 것이다. 광해군에대한 이런 부정적인 평가는 조선왕조가 망할 때까지 동요 없이 거의 절대적인 평가로 자리 잡았다. 이런 전통적 평가에 대한 비판은 1930년대에 처음 등장했다. 이른바 근대 역사학자들은 명과 후금 사이에서 광해군이 취한 외교노선을 중립정책이자 당시 조선왕조가 취할 수 있었던 최선의 정책으로 새롭게 평가하였다. 그들은 이른바 廢母殺弟행위에 대해서도 그 책임을 당시 권력을 농단하던 北人에 돌림으로써 광해군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바꾸었다. 이런 수정주의적 해석은 해방 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사실상 통설이 되었다. 2000년에 출간된 한명기의 광해군은 이런 수정주의적 흐름을 잇고 그것을 집대성한 책이다. 그런데 2012년에 출간된 오항녕의광해군에서는 이런 수정주의적 해석을 면 부정하고 광해군에 대한 평가를 조선시대의 상태로 회귀시켰다. 이 비평논문에서는 이 두 책을 함께 놓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되, 국왕으로서 광해군이 행한 몇몇 정책뿐 아니라 그의 삶과 심리상태에도 중점을 두어 사안별로 살핀다.
영문 초록
King Kwanghae (r. 1608-1623) was deposed by the Palace Coup of 1623 launched by his nephew. According to the royal message promulgated in the name of the Queen Dowager immediately following the coup, the causes for
the coup, or King Kwanghae’s crime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King Kwanghae’s betrayal of Ming China to the barbaric Manchu and the persecution of the queen dowager and princes. This negative view of King Kwanghae was absolute for about 300 years until the last day of the Chosŏn dynasty. It was not until the 1930s that such a traditional view began to draw criticism. Detractors evaluated King Kwanghae’s foreign policy as neutralist and the best choice Chosŏn could have made at the time, turning
between two powers, Ming China and the Later Jin (Manchu). As for the issue of the queen dowager, they blamed the Senior Northerners and portrayed King Kwanghae as victimized of factional strife. This revisionist interpretation was transmitted to the post-1945 Korean scholars. Han Myŏnggi’s Kwanghaegun, published in 2000, was a monograph that lined up with the revisionists and summed up their interpretations. O Hangnyŏng’s Kwanghaegun, published in 2012, however, rejected revisionist interpretations and supported the traditional
view of King Kwanghae. With emphasis on King Kwanghae’s mentality and his policies and politics, this review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two conflicting views of King Kwanghae.
목차
Ⅰ. 머리말
Ⅱ. 광해군, 탁월한 외교정책을 펼친 군주
Ⅲ.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실마을 注谷와 보성군사
- 북한의 고조선 교육과 ‘김일성민족’의 단군
- 『風雨賦』의 자료적 가치
- 조선 초기 역사서와 동국병감의 편찬
- 손진태의 한국사교육론
- 식생활의 역사
- 병자호란 시기 승정원일기의 전거 자료 南漢日記 연구
- 광해군, 두 개의 상반된 평가
- 『高山誌』(1964) 편찬과 고산지역 艮齋門人의 역할
- 한국전쟁 연구 동향의 변화와 과제, 1950~2015
- 글로벌 시대 한국 역사학의 해체와 재구성
- 삼국사기 신라 上代기사에 보이는 倭
- 고려시대의 기자 인식
- 개정증보 韓國中世史學史(Ⅰ)
- 역사 다큐멘터리의 미학적 쟁점과 전망
- 역사에서의 시간
- 新羅의 國史수찬과 지방통치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