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핀란드 청소년의 시민·사회적 참여 유형 비교

이용수 1095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Civic Social Engagement Classification between Korean and Finnish Youth -Focused on ICCS-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김태준(Kim, Tae-Jun) 오민아(Oh, Min-Ah) 이은경(Lee, Eun-Kyung)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321~34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OECD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진보를 위한 교육의 역할에 관한 논의는 교육이 경제적인 효용성만이 아닌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기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진보를 위한 다양한 영역 중 시민・사회적 참여와 관련하여 ICCS 2009 데이터ICCS 38개 참여국의 수집된 조사 자료 공개 합의에 따라,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의회(IEA) 홈페이지(http://www.iea.nl)에 원자료와 코드북이 실려 있음. 본 논문의 제1저자가 ICCS 국가연구조정관으로서 ICCS 2009 한국 조사를 수행하였음 (한국 5,254명, 핀란드 3,307명)를 통해 한국과 핀란드 청소년의 시민・사회적 참여 유형을 도출하고 시민・사회적 참여 유형과 교육환경 역량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시민·사회적 참여에 관한 7가지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들이 한국과 핀란드의 교육환경 역량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유형은 세 가지(인지적, 태도적, 행동적) 차원의 교육환경 역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핀란드는 한국에 비하여 교육환경 역량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유형들 간에 교육환경 역량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두 국가들 간의 차이를 청소년의 인지적 역량과 비인지적 역량의 균형적인 발달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iscussion about the role of education for social progress. It is designed to compare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Finnish education. The different types of Civic and Social Engagement(CSE) were classifi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CSE classifications and educational competences(cognition, attitude, behavior) were analyzed. The research utilized the ICCS 2009 data (Korea, 150 schools, 5,254 students; Finland, 176 schools, 3,307 students). Using cluster analysis on CSE, seven types of CSE were classified; conservative truster, social- innovative leader, critical egalitarian, alienated helpless, illegal resistance, lack of trust, social accommodator. In the relationship among CSE types and educational competences, overall positive and ideal types of CSE had higher scores than negative types of CSE in three deminsions of educational competences. Finnish youth had higher scores in the all of educational competences than Korean youth. Furthermore, positive type and negative type of CSE in Finland made a difference in educational competences. Therefere, the research disscused in result in terms of balancing between cognitive and non- cognitive competences in youth.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준(Kim, Tae-Jun),오민아(Oh, Min-Ah),이은경(Lee, Eun-Kyung). (2015).한국과 핀란드 청소년의 시민·사회적 참여 유형 비교. 비교교육연구, 25 (4), 321-348

MLA

김태준(Kim, Tae-Jun),오민아(Oh, Min-Ah),이은경(Lee, Eun-Kyung). "한국과 핀란드 청소년의 시민·사회적 참여 유형 비교." 비교교육연구, 25.4(2015): 321-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