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과 독일의 대학 강사제도 비교연구

이용수 541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n Part-time University Faculty Policies between the US and Germany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오세희(Oh, Se-Hee) 박상완(Park, Sang-Wan) 김민희(Kim, Min-Hee)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169~20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과 독일의 대학 강사제도에 관한 비교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대학 강사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대학 강사제도와 관련된 주요 쟁점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 준거로 삼아 미국과 독일의 대학 강사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국가별 대학 강사제도 관련 학술논문, 법령, 설문조사 자료, 기타 문헌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대학 강사의 유형은 미국과 독일 모두 다양하나 독일이 보다 체계적으로 대학 강사 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둘째, 대학 강사제도 관련 법령 면에서, 미국은 연방정부나 주정부 수준의 대학 강사제도 관련 법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나 독일의 경우 연방대학기본법에 대학 강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고, 주별로 대학 강사의 임용, 보수 등을 명시하고 있다. 셋째, 대학 강사 현황 면에서 미국과 독일 모두 대학 강사 수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전임교원 대비 대학 강사 비율은 미국보다 독일이 더 높은 수준이다. 넷째, 보수와 기타 혜택 면에서, 미국 대학 강사의 보수는 전임교원의 1/4 수준이며 의료보험 혜택도 미흡하나 독일은 대학 강사에 대해 보수 외 성과급, 추가 옵션 등의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part-time faculty polici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in order to improve policies in Korea. Analytical framework is developed based on political issues of Korean part-time faculty polices. For comparative analysis, academic journals, laws, survey data and other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ur main points were drawn from the research. Firstly, the type of part-time university faculty varied for both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but Germany categorized more systematically. Secondly, in the U.S there are no specific federal law but has several state laws regarding part-time university faculty members, whereas German states have specified law regarding the qualification and wages of part-time university faculties. Thirdly, the number of part-time university faculties is increasing in both Germany and the U.S. Germany has a higher percentage of part-time university faculties than the U.S. Lastly, part-time university faculties in the US receive less benefit compared to tenured faculty members. On the other hand in Germany specifies wages and lecture time per week of part-time university faculties by law. Based on the analyses, four policy implications are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대학 강사의 범위와 비교연구의 분석 틀
Ⅲ. 미국과 독일 대학 강사제도의 내용 분석
Ⅳ. 시사점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세희(Oh, Se-Hee),박상완(Park, Sang-Wan),김민희(Kim, Min-Hee). (2015).미국과 독일의 대학 강사제도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25 (4), 169-201

MLA

오세희(Oh, Se-Hee),박상완(Park, Sang-Wan),김민희(Kim, Min-Hee). "미국과 독일의 대학 강사제도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25.4(2015): 169-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