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 교육발전모델의 역사적 구조 탐색

이용수 359

영문명
The Historical Structure of the East AsianDevelopment Model in Education -The Case of Japan-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윤미(Lee, Yoon-Mi)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235~26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위 동아시아모델의 대표적 국가인 일본의 교육발전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교육발전모델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교육발전과정을 메이지유신이후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의 전전(戰前) 교육과 패전 이후의 전후(戰後) 교육으로 나누어 그 성격을 파악하고, 제도변화 과정에서 ‘대체(displacement)’와 ‘중층성(layering)’의 관련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본 교육발전과정에 대해 보다 분석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전전과 전후 교육제도운영상의 ① 기초(source), ② 원리(principle), ③ 전략(strategy), ④ 효과(effect) 등의 네 가지 준거들을 중심으로 주요 특징들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structure of educational development in Japan, known as the central case in the East Asian model of education. Pre- and post-war educational developments of Japan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based on the selected four areas (i.e., source, principle, strategy and effect of the educational practices) so as to clarify the assumptions of the existing discussion on East Asian education. The pre- and post-war education of Japan was analyzed based on the four modal types of institutional change delineated by Mahoney and Thelen(2010), namely, displacement, layering, drift, and conversion. Displacement and layering, in particular, were applied in the discussion to reappraise the pre- and post-war evolvement of Japanese education. The transition from the pre-war authoritarian statism into the post-war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appears as if displacement was present. The striking continuity of the meritocratic rules or strategies, however, that have worked through the competitive selection system by means of formal testing (or examinations) suggest that it was not wholly the new rule or institution that was introduced by the postwar democracy, but rather a process of revision (or addition) to the existing system was crucial. New principles or rules associated with democracy and egalitarianism were introduced to post-war Japan, but they were attached to the existing structure of elitism through the meritocratic notion of fairness and objectivity, thereby leading to similar effects of harsh competition and credentialism akin to the pre-war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일본교육발전에 대한 시각
Ⅲ. 일본 근대교육의 특징: 전전과 전후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미(Lee, Yoon-Mi). (2015).동아시아 교육발전모델의 역사적 구조 탐색. 비교교육연구, 25 (4), 235-264

MLA

이윤미(Lee, Yoon-Mi). "동아시아 교육발전모델의 역사적 구조 탐색." 비교교육연구, 25.4(2015): 235-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