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국가적 정책 행위자로서 국제기구의 교육부문 사업 동향 비교

이용수 94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화(Kim, Young-Hwa)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1~3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교육 관련 사업을 가장 활발하게 수행해 오고 있는 국제기구인 OECD와 UNESCO를 중심으로 국제기구의 교육부문 사업 동향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국제기구의 초국가적 정책행위자로서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각 국제기구 교육부문 사업의 전개 양상과 추진체계 및 교육부문에서 최근에 다루고 있는 주제 및 추진 사업, 그리고 교육부문 사업이 회원국의 교육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검토하였고, 마지막으로 결론과 함께 국제기구 교육부문 사업의 한계와 우리나라 교육정책결정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ECD의 교육부문 사업은 교육을 경제발전의 수단으로 보는 경제주의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였으나, 형평성과 포용, 사회통합을 강조하는 등 종래의 편협한 경제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접근의 폭을 넓혀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다시 교육과 경제의 관계를 강조하는 경향이 증가해 왔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21세기 들어 강화되고 있다. 최근 들어 비회원국의 참여 증대에 따라 비회원국과의 협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수학습의 질과 성과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켜 학습의 장·단기적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의 생산 활동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OECD의 교육사업 추진 방식은 초창기에는 담론을 통한 아이디어 생산이 주를 이루었던 반면, 1990년대 이후 정책평가와 데이터 생산으로 확대 및 강화되었고 ‘초국가적 정보 관리’를 통해 세계 교육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UNESCO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이상 실현을 목표로 하여 활동하는 기구로서, 교육의 사회적 책임과 도덕적 역할을 강조해 왔고, 저개발 국가와 소외된 사회집단에 우선적인 관심을 기울여 왔다. 따라서 UNESCO의 프로그램은 대체로 평가적이라기보다 처방적이고 규범적이다. 최근에는 아프리카와 여성의 교육 확충에 사업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UNESCO는 국가적, 정치적 지원 없이는 교육 개선을 이룰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세계 정상회의 또는 고위 정책담당자 회의를 개최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정치 지도력을 동원한다. 협약과 권고, 선언 등의 형태로 국제적 규범을 제정하여 회원국들이 준수하도록 권고하며 때때로 의무화하는 방식으로 세계 교육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회원국, 특히 저개발 국가에 전문가를 파견하여 직접적으로 교육정책 및 기술적 지원과 자문을 제공한다. 그러나 세계은행처럼 당사국에 직접적으로 재정 지원하는 것이 아니므로 인적, 재정적으로 국가 역량이 부족한 나라들의 경우 UNESCO의 영향력에 한계가 있다.

영문 초록

By investigating recent trends in programs and activities in the education sector of OECD and UNESCO,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roles and func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global educational policy actors and for exploring their possibilities and limits.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activities of the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ver time, the system for their implementation, their themes and contents and mechanisms through which they have effects on educational policies of member countries. In the final section, their limits, the necessity for further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al policy decision making were discussed with drawing conclusions.

목차

Ⅰ. 서 론
Ⅱ. 국제기구 교육부문 사업의 전개와 주요 사업 주제
Ⅲ. 국제기구 교육부문 사업의 영향 기제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화(Kim, Young-Hwa). (2015).초국가적 정책 행위자로서 국제기구의 교육부문 사업 동향 비교. 비교교육연구, 25 (4), 1-34

MLA

김영화(Kim, Young-Hwa). "초국가적 정책 행위자로서 국제기구의 교육부문 사업 동향 비교." 비교교육연구, 25.4(2015): 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