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목소리의 정신분석을 향하여

이용수 622

영문명
Toward Psychoanalysis of Voice: Wagner's Opera, Parsifal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김용수(Yong soo Kim)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0권 1호, 67~9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라캉(Jacques Lacan)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욕동(drive)과 관련된 실재적 대상 중 하나인 목소리는 그 이론적, 미학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응시의 그늘에 가려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목소리는 청각 욕동의 대상으로서 문학, 영화, 음악, 오페라 등의 예술 작품이 지닌 청각적 차원을 해명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목소리는 하나의 개념으로서 응시만큼이나 풍부한 함의와 잠재력을 지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라캉의 사유에 철학적 기반을 두거나 그와 깊이 연루된 이론가들이 청각과 관련된 예술작품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비판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목소리의 정신분석을 향한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필자는 우선 목소리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을 정리한 뒤 지젝(Slavoj Žižek), 바디우(Alain Badiou), 프와자(Michel Poizat)가 각각 목소리의 예술인 오페라, 특히 바그너(Richard Wagner)의 오페라 파르지팔 (Parsifal)에 접근하는 서로 다른 방식을 점검함으로써 목소리의 정신분석이 예술작품의 보다 깊은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본다. 지젝이 오페라의 시각적, 서사적 측면에 집중하고, 바디우가 극적, 음악적 차원의 균형에 초점을 맞춘다면, 프와자는 오페라의 청각적, 음악적 측면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시각과 의미를 무화시키는 목소리와 그것에 얽힌 욕망과 희열을 드러낸다. 이들 세이론가는 일정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목소리의 정신분석을 향한 탐색의 단초를 제공한다. 목소리의 정신분석은 아직 갈 길이 멀다. 하지만 그 길 위에는 미지의 가능성들이 놓여있다.

영문 초록

Voice, one of the partial objects related to drives, has long been in the shadow of gaze despite its theoretical and aesthetic significance in Lacanian psychoanalysis. Voice, however, can contribute as the object of the invocatory drive to elucidating the aural dimension of such art forms as literature, cinema, music, and opera. It contains, I argue, as much implication and potentiality as gaze. This paper explores possibilities of psychoanalysis of voice by critically examining how Lacanian theorists construe the works of art that are deeply involved with the auditory sense. After reviewing psychoanalytic theories of voice, my paper compares and reassesses the ways in which Slavoj Žižek, Alain Badiou, and Michel Poizat read the vocal art, opera, especially Richard Wagner's Parsifal. Žižek pays more attention to the visual and narrative dimensions of opera than the auditory; Badiou focuses on the balance between the dramatic and the musical; and Poizat attends to opera's vocal and musical aspects, and in so doing, reveals voice as an object of desire and jouissance that nullifies vision and signification. These critics' different approaches to Parsifal suggest the aesthetic importance of the object voice in appreciating the aural beauty and enjoyment of opera. Psychoanalysis of voice still has a long way to go, but it certainly has unknown possibilities ahea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정신분석과 목소리
Ⅲ. 지젝
Ⅳ. 바디우
Ⅴ. 프와자
Ⅵ. 나가며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수(Yong soo Kim). (2015).목소리의 정신분석을 향하여. 비평과 이론, 20 (1), 67-92

MLA

김용수(Yong soo Kim). "목소리의 정신분석을 향하여." 비평과 이론, 20.1(2015): 6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