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태준 <화관>의 상징성 연구

이용수 80

영문명
The study of Symbolism of Hwagwan by Lee Tae-jun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은정(Kim Eun ju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67집, 247~27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이태준의 <화관>을 고대 ‘화관’의 두 가지 상징성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화관>이 보여주는 복합적인 세계를 ‘화관’의 상징성이라는 기제로써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본고는 <화관>의 상징성을‘신부가 쓰는 결혼 예식의 화관’의 모습과‘예수의 고난의 가시관’으로 형상화된 화관의 두 가지 모습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이 두 가지 모습은 서로 상반되는 이미지를 보여주고는 있지만 두 이미지 모두 ‘숭배의 상징’이라는 측면에서는 동일한 상징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본고가 추출한 ‘화관’의 상징성은 ‘족쇄’로서의 상징이다. 이 상징성은 악인형 인물인 배일현의 서사를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배일현이 임동옥에게 선물했던 시계나 반지의 상징성을 통해 이를 추출하였다. 본고는 이 물건들을 의미를 ‘돈의 족쇄’라는 상징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족쇄의 의미를 통해 ‘생활의 발견과 수용’이라는 이태준의 변모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점을 통해 본고는 <화관>이 불안정한 텍스트로 남은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wagwan(the Coronet) by Lee Tae-jun on the basis of two symbolisms of the ancient coronets, and to explain the complex world of this work on the basis of the coronet's symbolism. The frame of authority is the theory of Frank Kermode, who claimed that there are two plots, the plot as foreground and the plot of secret as background. The symbolism of Hwagwan which is possible to be understood as the plot as foreground was derived from the two images, the coronet of bride and the crown of thorns of Jesus. These two images are contradictory each other, but have the same properties in that they all are the objects of admiration. The image of coronet as the plot as background is a symbol of restriction. This symbolism appears centering around the narration of Bae Il-hyeon, the character of villain type. So we drew this symbolism from the images of the watch or ring which Bae Il-hyeon presented to Im Dong-uk. We regarded their meaning as the images of restriction of money, and from the meaning of this restriction, we were possible to extract the transfiguration of Lee Tae-jun, that is, the accommodation and discovery of life. Moreover, we can find the reason why Hwagwan is left as incomplete text.

목차

Ⅰ. 서론
Ⅱ. 숭배의 상징으로서의 ‘화관’
1. 신부의 ‘화관’과 육체의 숭배
2. 고난의 ‘가시관’과 정신의 숭배
Ⅲ. 족쇄의 상징으로서의 ‘화관’
1. 배일현의 서사와 족쇄 상징으로서의 ‘화관’
2. 족쇄 상징의 의미와 작가 의식의 변모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Kim Eun jung). (2014).이태준 <화관>의 상징성 연구. 한국문학논총, 67 , 247-276

MLA

김은정(Kim Eun jung). "이태준 <화관>의 상징성 연구." 한국문학논총, 67.(2014): 247-2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