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00년대의 여성, 그 전도된 인식과 반영의 궤적

이용수 89

영문명
Women in 1900's, the Trace of Perverse Cognition and Reflection Focused on women in the novel of 1906 and 1907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정환국(Jung Hwan ku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9권, 249~27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900년대 여성에 대한 인식의 궤적과, 그런 인식이 문학작품에 반영된 양상을 고찰하였다. 19세기 말부터 진행된 여성의 개명 문제는 특히 신문 매체를 통해서 꾸준하게 논의된다. 그런데 이 때의 여성은 선양의 표본이면서도 선도의 대상으로 불거져 나온다. 계몽의 시기에 주요 대상으로 말이다. 따라서 그들은 자의식을 통해 자신들을 발견할 기회를 갖을 수 없었다. 그런 사이에 국가는 을사보호조약 등으로 그 존폐 위기를 맞는다. 이 때부터 여성들은 자의든 타의든 사회에 내던져져야 했다. 1906,7년에 신문에 연재된 소설들-<일념홍(一捻紅)>ㆍ<혈의누>ㆍ<몽조(夢潮)>-에는 이런 여성들이 매우 부조화스런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이들 여성은 때론 개화의 화신으로, 때론 방향성을 잃고 불안에 떠는, 전도된 인간형이다. 이러한 인식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1908년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면서 여성들의 인식과 자의식은 조금씩 변해갔다. 그 대표적인 예를 이 시기에 등장하는 여성잡지에서 찾을 수 있겠다. 이 여성잡지를 통해서 '여성'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며, 구체적인 사회사업을 펼칠 기회를 마련한다. 그러나 여전히 전통적인 인식의 탈각은 시기상조였다. 이같은 1900년대 여성인식의 면모는 1910년대 이후 이른바 '신여성'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렇지만 이후의 변화도 1900년대에 전도된 여성인식의 면모를 확인함으로써 그 정당한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ce of cognition of women in 1990's and studies the aspects of the cognition reflected in literary works.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issue of enlightening the woman was steadily discussed on newspapers. Woman was a paragon of praise and object of instruction in the period. It means that woman was a main target in the years of enlightenment. As a result, woman had not had any chance to find her identity/ego through the way of discovering her own self-consciousness. In the meantime the nation was on the verge of crisis to disappear by the 1905 Protectorate Treaty. From this time woman was cast out in the society without her willingness. In serial novels on newspapers, such as 『Ilnyum Hong(A Beautiful Red Flower)』, 『Hyuleu Nu(Bleeding Tears)』 and 『Mongjo(Dream of Tide)』, women were depicted very contradictory and inconsistent. One woman was an incarnation of the civilized, and the other a type of the perverse lost direction trembling in uncertainty. In the limit of cognitio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starting with the movement for national debt compensation in the year of 1908, cognition of women and woman's self-consciousness were changed and sprouted little by little. The typical example could be found in emergence of woman's magazine, by which woman could find her own voice and speak. And they even had a chance to prepare to develop the social enlightenment projects. But there still was a long way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cognition. Cognition of woman in 1900's was far distant from that of 1910's so called 'new woman'. Nevertheless, by means of the study of cognition of woman in 1900's, gradual change of cognition of woman in later years could be examined in orderly and just ways.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을사조약 이전의 '여성'
3. 1906, 7년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4. 여성에 의한 '여성'의 발견-1908년 여성잡지의 등장
5. 나오며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환국(Jung Hwan kuk). (2004).1900년대의 여성, 그 전도된 인식과 반영의 궤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 , 249-277

MLA

정환국(Jung Hwan kuk). "1900년대의 여성, 그 전도된 인식과 반영의 궤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2004): 249-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