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랑과 갈등에 대한 남성의 시각 뒤집어 보기

이용수 44

영문명
The Reversed view of man's reason for love and conflict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Lim Chi kyun(林治均)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9권, 169~19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옥환기봉>은 사랑과 그에 따른 갈등의 이유에 대하여 남성 주인공 광무제의 시각을 그대로 인정하면서 당시의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반면 <한조삼성기봉>은 광무제의 시각에 반대하면서 버림 받은 여성인 곽후의 시각에서 작품을 구성하고 전개하고 있다. 남성의 시각을 여성의 입장에서 뒤집어본 것이다. 이에 따라 <한조삼성기봉>은 버림 받은 여성이 자신을 버린 남성에게 똑같은 방식으로 복수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복수는 두 사람의 性을 바꾸어 곽후를 남성인 강왕으로, 광무제를 여성인 조수아로 재생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한조삼성기봉>에서는 이러한 복수가 정당성을 얻는 근거로 '조강지처로서의 곽후의 공로'와 '남성인 광무제의 無信'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여성적 시각에서 작품을 이끌어간 <한조삼성기봉>도 조수아가 폐출되는 이유로 不德함을 내세움으로써 결론이 <옥환기봉>과 같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물론 <옥환기봉>과 같은 모습으로 복수를 그리고 싶은 의도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不德 이외의 다른 이유를 찾지 못한 것은 <한조삼성기봉>의 작가가 결국 소설적 관습과 당대의 사회적 인식에서 자유롭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조삼성기봉>의 작가는 비록 여성적 시각에서 작품을 구성하고 전개하였지만, 결국은 당시의 보편적인 의식에 준하여 '여성의 不德'함을 폐출 이유로 제시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 고전소설에서 버림 받은 여성의 입장에서 내용을 전개한 작품이 전무한 상황에서 버림 받은 여성의 관점을 투영한 <한조삼성기봉>은 그 자체로 존재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asculine and feminal viewpoints of two literary works, Okhuwan'gibong, and Hanjosamseonggibong, which although both dealt with love and separation among the same characters, they took opposite positions in the discourses. As a result, it shows that Okhwan'gibong approved the masculine viewpoint of its male character as it was, and faithful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social perceptions of women. In Okhwan'gibong, womanly virtues was much more emphasized than lust; womanly virtues was the prime criteria by which a man decided whether to take or desert a woman. This concurred with the advocation of womanly virtues in books such as Gyenyeoseo at the time. On the other hand, Hanjosamseonggibong was totally a contrast to the Okhwan'gibong. It is noteworthy that Hanjosamseonggibong was composed and unfolded from the standpoint of a deserted woman, Queen Gwak, who was the legitimate wife of King Gwangmu, but was deposed by the king under an accusation of lacking womanly virtues. Then, it continues as a revenge Story where the two characters were reborn with sexes switched, namely, Queen Gwak became a man, King Gang, while King Kwangmu became a woman Josua. In Hanjosamseonggibong, the revenge was justified by the facts that Queen Gwak was the legitimate wife of King Gwangmu, and King Gwangmu was trustless. Moreover, it is understandable for any legitimate wife who was deprived of her position by concubines to come up with such a revenge plan. However, even though Hanjosamseonggibong stuck mostly to the feminal standpoint, its ending was surprisingly similar to Okhwan'gibong in that Josua was dispelled from the palace because of being virtueless, thus, the work changed to a masculine standpoint. This is due to its internal reason that Hanjo samseong gibong's author purposely let King Gwangmu experience the same of what Queen Gwak had suffered to make her revenge successful. Although the author meant to let Queen Gwak use the same phase to revenge, his initial stand for Queen Gwak seems awkward with concluding the story with Josua ending the same as Queen Gwak. Nevertheless, there is almost no works in pre-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that was written from the standpoint of deserted women. In this sense, Hanjosamseonggibong is unique in the aspect that it projects deserted women's views, and this is intriguing.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남성이 바라본 갈등 원인-여성의 色과 德에 대한 평가
3. 여성(조강지처)이 갈등 원인으로 내세운 남편의 無信과 그에 따른 복수
4.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Lim Chi kyun(林治均). (2004).사랑과 갈등에 대한 남성의 시각 뒤집어 보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 , 169-195

MLA

Lim Chi kyun(林治均). "사랑과 갈등에 대한 남성의 시각 뒤집어 보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2004): 169-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