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주체적 소설과 모성이데올로기의 파기

이용수 292

영문명
Gynocentric novels and The destruction of Maternal ideology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이지하(Lee Jee ha)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9권, 137~16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고전소설 작품들에서 발견되는 모성 의무의 방기 현상에 주목하여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마련되었다. 고전소설이 향유되었던 조선 후기는 그 어느 때보다 보수적 유교 이념이 강화된 시기였는데 여성의 지위를 삼종지도로 대표되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의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강조되던 상황에서 이를 위반하는 작품들이 산출되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현씨양웅쌍린기>, <옥원재합기연>, <창란호연록> 등에는 희생적인 모성애로 대표되는 자애로운 어머니상을 파괴하는 여주인공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여성을 가부장제 하의 종속된 존재로서 규정하는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어머니로서의 역할보다는 독자적 개인으로서의 입장에 더 비중을 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가부장제 내에서 모성의 의무에 대한 강조가 여성을 억압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고려할 때 이들의 행위는 통념을 깨고 새로운 측면에서 여성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모성의 역할을 대신하는 남성주인공들의 부성 역시 주목받을 만하다. 계후 갈등을 통해 현모양처형의 여성상을 부각시키고 있는 <사씨남정기> 등의 작품이 모성의 문제를 가부장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과 비교해볼 때 위의 작품들이 가지는 의의가 더 선명히 부각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고전소설 속의 여성인물들을 새롭게 인식하고 여성의 문제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마련되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meaning of evasion of maternal responsibility in Korean Classical novel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patriarchal ideology was reinforced by the ideology of conservative Confucianism. In that time women were regarded as a dependent existence on men for a daughter, wife, and mother. Especially the role of mother that bears and brings up a son who will be a patriarch was emphasized to support patriarch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novels such as Hyunssiyangoongssangringi(玄氏兩態雙麟記), Okwonjaehapgiyun(玉鴛再合奇緣), Changranhoyunrok(昌蘭好緣錄) which are against this situation were written at that time. There were a few heroins who destroyed the image of affectionate mother that was admired by patriarchy. They disagree about the social code that regards women as a subordinate existence to patriarchal ideology and tend to search themselves as a independent individual. In connection with this, they sometimes ignore the role of mother. They are not affectionate but self-possessed to their children. They are concerned about themselves as a independent individual much more than the role of mother that is provided by relationships in patriarchy. It is meaningful that they reject maternal ideology that has been reinforced to support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they try to reconstruct women's status. It was general that such kind characters were shaped as a wicked woman or bad stepmother. However they are described as heroines rather positively than negatively. This means a view of womanhood in these novels had the countenance of authors and readers. Besides in these novels, the paternal love of heroes, which substitutes the role of mothers, also contributes to reveal and overcome the fake of maternal ideology. In the comparison with Sassinamjunggi(謝氏南征記) which emphasizes the image of a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order to maintain patriarchy, the novels mentioned above are more meaningful. In this case, woman characters can be understood as real figures not as ideological personifications that were idealized by confucian patriarchy, and matters of women can be seriously examined.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여성주체적 소설에 드러나는 모성 의무의 포기와 그 의미
3. <謝氏南征記>에 나타난 모성과의 비교
4. 소설사적 의의
5.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하(Lee Jee ha). (2004).여성주체적 소설과 모성이데올로기의 파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 , 137-168

MLA

이지하(Lee Jee ha). "여성주체적 소설과 모성이데올로기의 파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2004): 137-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