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尙書』 放伐 대목의 理想 논리와 現實의 편린

이용수 150

영문명
The Ideal Logic and Some Reality of Bangbeol Described in 『Sangseo』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유영옥(Yu, Young-O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9輯, 195~231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상서』에 수록된 전쟁은 모두 義戰인데, 의전은 征伐과 放伐로 구분된다. 『상서』 속 정벌은 天子의 질서에 不順不服한 惡人을 제거하는 전쟁이고, 방벌은 湯武가 폭군 桀紂를 제거한 역성혁명을 가리킨다. 『상서』에서 義戰 지휘자는 모두 출전하기 직전 군사들에게 맹세하여, 의전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전투에 진력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특히 방벌 때는 폭군의 極惡한 죄상을 거듭 언급하고, 또 民心을 얻은 至德者가 天命을 받은 天吏가 되어 폭군을 제거하고 生民을 구한다는 말을 반복하여, 방벌이 정당한 혁명임을 무한히 강조하였다. 『상서』는 天命이 不常하여 매번 至德者에게로 옮겨가, 殷이 夏를 대신하고 周가 殷을 대신하여 새로 천명을 받았음을 누차 언급하였다. 그래서 민심과 천명을 잃은 걸주는 더 이상 天子가 아니라 '獨夫[一夫]'로 전락했기에, 그들을 공격하는 일은 쿠데타가 되지 않는다. 이로 보면 이상적인 방벌이란 첫째 걸주 같은 極惡과 둘째 탕무 같은 至德의 조건이 맞물려 弔民伐罪의 목적을 이룰 때만 비로소 정당하다. 한편, 『상서』의 방벌 대목은 군사들에게 심혈을 기울여 명령을 수행하라는 마지막 당부의 맹세를 하면서, 만약 전투에 성심껏 임하지 않으면 너 자신과 처자식까지 죽이겠다[孥戮汝]고 매섭게 경고했으며, 또 피가 흘러 방패가 떠다닌다[血流漂杵]는 끔찍한 전투 상황도 전하고 있다. 주자와 채침은 '혈류표저'를 殷人이 相攻하여 발생한 大略의 事實로 이해했지만, 맹자는 이 말을 믿지 않아 "『상서』를 다 믿는 것은 『상서』가 없는 것만 못하다"고 하였다. 왜냐면 맹자는 東征에 西夷가 원망하고 짐승이 그 뿔을 땅에 대듯 生民이 湯武에 순종하므로 방벌은 전투할 것도 없이 승리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조선의 경학가들도 맹자처럼 이 말을 믿지 않는 학자들이 자못 많았다. 그러나 방벌도 결국 전쟁이므로 필연적으로 유혈을 수반하다. 이 점을 감안하면, 孥戮汝도 과하지 않고 血流漂杵도 사실이 아니라고 예단할 수는 없다. 『상서』의 방벌은 至當하여 천하무적이지만 한편으로는 유혈의 片鱗도 존재한다. 그 까닭은 『상서』가 經典이자 史書이므로, 이론과 실제의 차이 내지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은미하게 머금고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Wars described in 『Sangseo』 are all 'eujeon(義戰)' which means a war for justice. Eujeon is classified into 'jeongbeol(征伐)' and 'bangbeol(放伐)'. Here, jeongbeol means a war that the son of the heaven takes to get rid of vicious men who refuse to obey to him. While, bangbeol means a kind of dynastic revolution whose purpose is to remove the tyrant. According to 『Sangseo』, the commander of euijeon vowed to his soldiers before going to war. In case of bangbeol, especially, he continued to emphasize that the war was a legitimate revolution by repeatedly mentioning atrocious crimes of the tyrant and addressing that the man of highest virtue should remove the tyrant and save the people as a heavenly servant who received a mandate from the heaven[obtained support from the public]. 『Sangseo』 describes that the heavenly mandate moved from kings Jie and Zhou both of whom had lost the support of the people because of their atrocities to another kings Tang and Wu. In consequence, both the tyrants were already 'dokbu[Ilbu]' meaning men who became powerless due to the loss of popularity. Therefore, attacking them didn't be viewed as a coup. The commander of bangbeol requested his soldiers to devote themselves to the war, and bowed "noryukyeo(孥戮汝): I shall kill not only you, but also your wife and children", if they don't try their best. In addition to this threatening warning, 『Sangseo』 described a tragic situation of battles like "hyeolryupyojeo(血流漂杵): blood is flowing enough to make shields float over."Both Zhu-zi and Cai-shen considered as real words found in 『Sangseo』 like "blood is flowing enough to make shields float over". But Meng-zi didn't believe in those words. He said "Believing in all descriptions of 『Sangseo』 is not as much as the no existence of the literature itself". This is because Meng-zi thought that if a man of highest virtue conquests the tyrant of highest vice, all people of that tyrant would surrender themselves and become the almighty power supporting the man of highest virtue, so there could be nothing but triumph without any battle. Many scholars of the Joseon period agreed with Meng-zi. However, bangbeol is essentially a war, so it inevitably involves blooding. When this is considered, noryukyeo mentioned by Cai-shen is not exaggerated. And it seems it's not sure that hyeolryu pyojeo is not a historical fact. 『Sangseo』 is a scripture and simultaneously a historic literature. Thus, underlying the publication's descriptions of almighty power created based on the ultimate legitimacy of bangbeol on one hand and bloody situations on the other band is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r between ideal and realit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상서』의 義戰
Ⅲ. 방벌의 이상과 현실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영옥(Yu, Young-Og). (2014).『尙書』 放伐 대목의 理想 논리와 現實의 편린. 동양한문학연구, 39 , 195-231

MLA

유영옥(Yu, Young-Og). "『尙書』 放伐 대목의 理想 논리와 現實의 편린." 동양한문학연구, 39.(2014): 195-2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