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慶州邑誌』考察

이용수 259

영문명
On『Gyeongju Chronicle』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부영근(Young-Gun Boo)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9輯, 119~138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慶州邑誌』는 李錫釿 孫祥翼등이 발간한 8권 4책의 석인본이다. 조선시대 地理誌의 편찬 작업은 개인의 문집과 같은 私家本의 영역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官府에서 모든 일을 통괄하고 지휘하는 사안도 아니었다. 즉 관ㆍ민의 총체적 의견이 모여서 상호 조정과 협력으로 집대성되었다. 1669년에 부윤 閔周冕과 진사 李埰ㆍ金建準 등이 편찬한 『東京雜記』가 바로 그러한 성격을 띠고 간행된 최초의 경주 지리서다. 물론 이 책은 성종 때 간행된『新增東國輿地勝覽』을 모본으로 삼았고 다른 여타 지역의 경우처럼 지역을 소개하고 알리려는 안내서의 성격을 띠지만 당시 경주의 歷史ㆍ文化ㆍ人物 등 거의 모든 사항을 종합하여 묶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당시 경주에서는 지방지 편찬의 욕구가 분출되었다. 그 결과 『慶州邑誌』 외에도 『東京通志』ㆍ『金鰲勝覽』등 목ㆍ석인본 15책의 방대한 지리지가 편찬되었다. 일제치하에서 다양한 이견을 수렴한 3종의 사서가 편찬되었다는 것은 지역학적으로 주목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이면에는 수록차서 사례 인물의 선정 등을 놓고 지역 간 문중간의 대립이 첨예하였고 당시 日人들의 이간과 회유책 또한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Since the studies on SinoKorean literature has mainly been conducted in the Seoul area, approaches to the various objects in the areas other than South, Korea have been neglected, As a result, interest in these objects have not been drawn so far. With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studies on local areas have been activated, but they are still insufficient. It is absolutely right that studies on the Seoul area are important and urgent, but that cannot be a reason of neglecting the local areas. 『Gyeongju Chronicle』 is a stone version published by Suk-Gun Lee and Sun-Ik Son, and is composed of 8 books and 4 volumes. Unlike personal anthology, town chronicles were not published by clans during the Chosun dynasty, but not all the publication of town chronicles were planned and managed by government officials. They were prepared as a result of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civilians. 『Dongyeong Chronicle』 that was published by Buyun Jum-Mun Min and Jinsas Chae Lee and Gyeopn-Jun Kim in 1669 for the first ever is a good example. That book was certainly based on 『New Dongukyeojisungram』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King Seongjon period, and included information on the Dongyeong area, as other chronicles did. That book included a wide range of topics such as history, culture, and people of Gyeongju, and this is the significance of 『Dongyeong Chronicle』. At that time in Gyeongju, there was a strong demand for publishing a town chronicle. As a result, not only 『Gyeongju Chronicle』 but as many as 15 volumes of wood and stone version chronicles such as 『Dongyeong Geography』 and 『Gumo Overview』 were published. It is notable that three private books containing various opinions wer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ing period.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were severe conflicts among clans and regions in the process of deciding the order of contents and selecting object individuals, and consequently, the mean alienation and appeasement of Japanese rulers affected the publication in some degree.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慶州邑誌』의 構成과 以前邑誌
Ⅲ. 題詠詩
Ⅳ. 『慶州邑誌』의 地域學的意義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부영근(Young-Gun Boo). (2014).『慶州邑誌』考察. 동양한문학연구, 39 , 119-138

MLA

부영근(Young-Gun Boo). "『慶州邑誌』考察." 동양한문학연구, 39.(2014): 119-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