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법상 가택출입의 법적근거

이용수 159

영문명
Legal basis of Access to House on Police Act
발행기관
한국국가법학회
저자명
백혜웅(Baik hyewoong)
간행물 정보
『국가법연구』국가법연구 제10집 2호, 1~23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원살인사건(일명 오원춘사건)이후, 최근 경찰청에서는 『위급상황시 가택 출입ㆍ확인 등 경찰활동 지침』을 하달하여 일선 치안현장에서 급박한 생명ㆍ신체의 위험에 효율적 위험방지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위험개념의 해석, 경찰책임자 확정, 가택출입에 대한 수권조항과 관련하여 계속적인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위험의 의심에서는 위험원의 소재를 확인하거나 사안의 진행을 멈추는 위험존재확인조치가 가능한데, 이러한 조치는 위험원의 소재확인이나 사태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잠정적 조치이고 경찰책임자가 불분명한 경우에 실시하는 위험존재확인조치도 위험원의 소재확인이나 사태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잠정적 조치인 점에서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경찰책임자가 불분명한 경우에 실시하는 경찰상 조치에는 위험존재확인조치가 준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급상황시 가택출입ㆍ확인 등 경찰활동 지침」에서 '위험발생 장소가 협소한 범위로 한정된 경우'에 실시하는 가택출입은 경찰책임자가 불분명한 경우에 위험원의 소재확인을 위해 실시하는 위험존재확인조치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위급상황시 가택출입ㆍ확인 등 경찰활동 지침」에서 '위험발생장소가 광범위하여 탐문활동으로 협소한 범위로 한정하지 못한 경우' 까지도 가택출입을 실시하게 된다면 경찰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족하여 경찰책임자로 동일시하기가 곤란함으로 가택의 사실상 영향력행사자를 상태책임자나 비책임자로 볼 수 없게 됨에도 불구하고 경찰책임자로 취급하게 되어 가택수색이라는 경찰권을 발동하게 되어 경찰권의 남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동 지침에서 '위험발생장소가 광범위하게 추정되는 경우'에 실시하는 가택출입은 아무리 생명ㆍ신체의 위험이 급박하다 하 더라도 비례의 원칙에 위반되어 위법하므로 변경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Hate crimes are increasing these days such as a murder case in Suwon, Korea (so called, Oh Won-choon case), and some questions were brought out after this case. One of the important questions of this case is related to legitimate requirements of access to house for helping victims who are in life or body threatening danger. For dealing with this problem,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KNPA) issued an order late last year(2012.12), 『A guideline on police activity for access to house and verification in an emergency』. KNPA tried to prevent life or body threatening danger with dispatch in an emergency through this guideline, but it is still caught up in controversy. It contains interpretation of concept of danger, finalizing person (police officer) in charge, clause of delegation of legal power about access to house. And 'Verification action of existence of danger' can be used in suspicion of danger. This action performs figuring out a danger source's whereabouts and stopping course of events. Also, 'Verification action of existence of danger' can he applied even person (police officer) in charge is uncertain because this action in general situation and this action in other situation (the person in charge is uncertain) have something in common. This action in both situations is an interim measure for preventing aggravation of situation and figuring out a danger source's whereabouts. Therefore, it should be regarded as 'Verification action of existence of danger' that access to house in 'constrained case that danger occurred place is confined' under 「A guideline on police activity for access to house and verification in an emergency」. But, if access to house is conducted even in 'danger occurred place is too broad to narrow it down through investigation by questioning' situation under 「A guideline on police activity for access to house and verification in an emergency」, it causes lack of evidence for imputing responsibility of police to someone. And, if de facto person who influences to house is regarded as person in charge conditionally or not in charge, that would cause abusing the police authority. If access to house as 'Verification action of existence of danger' is conducted in this situation under the Article of the clause of general delegation of power, it would be illegal due to following two reasons. First, legitimate requirement of access to house is not fulfilled on account of uncertain person in charge in an aspect of protected interests. Second, it is unsuitable for proportionality since a range of infringement on fundamental rights is too big to accept in an aspect of damaged interests. Therefore, access to house should be modified in the situation of 'danger occurred place is too broad to narrow it down through investigation by questioning' under 「A guideline on police activity for access to house and verification in an emergency」, because it is illegal (unsuitable for proportionality) even there is urgent and significant threatening on life and body.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가택출입의 전제요건으로서의 위험
Ⅲ. 가택출입 적법요건 충족 시 경찰상 조치
Ⅳ.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혜웅(Baik hyewoong). (2014).경찰법상 가택출입의 법적근거. 국가법연구, 10 (2), 1-23

MLA

백혜웅(Baik hyewoong). "경찰법상 가택출입의 법적근거." 국가법연구, 10.2(2014):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