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이한 수업 관찰 도구를 통해 드러나는 교사들의 인식 이해

이용수 425

영문명
Understanding Teachers' Perception illuminated by Utilizing Two Different Classroom Observation Tool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이혁규(Lee, Hyugkyu) 김향정(Kim, Hyangjoung) 김남수(Kim, Namsoo)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449~477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점이 상이한 두 가지 수업 관찰지를 활용하는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성찰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P고 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수업을 참관하고 성격이 다른 두 가지 관찰지로 평가하게 한 후에 메타 질문지를 통해 상이한 수업 관찰지 활용 경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관찰지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낮은 추론을 요구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응답의 일치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높은 추론을 요구하는 문항이나 내용적 적절성이 부족한 문항의 경우에는 교사 응답의 일치도가 낮았다. 메타 질문지를 통해 확인한 결과, "관찰지가 달라지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달라진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달라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50%를 약간 상회하였다. 이런 반응을 바탕으로 적지 않은 교사들이 관찰지의 유형과는 별개로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지니고 수업을 평가하며, 그것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수업 관찰지를 활용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에 참여한 교사 중에는 자기의 주관을 신뢰하고 관찰지를 자신의 판단을 반영하는 도구로 인식하는 유형과 관찰지를 신뢰하고 그 판단에 의존하여 수업을 보는 유형이 존재하였다. 결국 수업 관찰 도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관찰자와 관찰 도구의 역동적 관계를 이해하고 교사 공동체 스스로가 여러 수업 관찰지의 내적 논리를 분석적으로 이해하여 자신들의 목적에 맞는 관찰지를 스스로 제작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eachers' epistemological reflection of their perceptions and pedagogical experiences in utilizing two different observation tools such as a checklist and qualitative survey questio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P high school to 49 teachers. These teachers were asked for evaluating the Mathematics class video clip by using two widely different observation tools. After finishing teachers' evaluation on this Mathematics class, this research was examining teachers' experiences of the use of these observation tools by meta-survey questions. According the result of analyzing meta-survey questions, there was relatively high in the intro-observer agreement to demanding the low inference of its items in the observation sheet while there was low in the intro-observer agreement to demanding the high inference of items or lack of content appropriation. To clarify the question about "Do different observation tools make changing the result of its evaluation on teachers' teaching practice?, more than 50% of these teachers responded that different observation tools didn't influence the results of its evaluation. It implied that a large number of teachers had idiosyncratic evaluation criteria which existed independent from these two different observation tools and that they commonly used a classroom observation sheet or a checklist as a means to address their distinctive view of teaching practice. It also implied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types of teachers. On this one hand, teachers who put more weight on their subjective views used a classroom observation sheet to reflect on their personal judgment. On the other, teachers was valuing more on a classroom observation sheet were relying on the result of its statistical analysis. In consequence,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observation tools to effectively use in observing classroom teaching practices, analyze internal logistics of the various types of classroom observation sheets within a learning community, and invent and utilize new observations sheets to meet the purpose of the particular learning commun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혁규(Lee, Hyugkyu),김향정(Kim, Hyangjoung),김남수(Kim, Namsoo). (2014).상이한 수업 관찰 도구를 통해 드러나는 교사들의 인식 이해. 열린교육연구, 22 (1), 449-477

MLA

이혁규(Lee, Hyugkyu),김향정(Kim, Hyangjoung),김남수(Kim, Namsoo). "상이한 수업 관찰 도구를 통해 드러나는 교사들의 인식 이해." 열린교육연구, 22.1(2014): 449-4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