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부모의 건청유아 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이용수 325

영문명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peech Sounds in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미정(Mi-Jung Kim) 김재옥(Jaeock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107~115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청각장애인의 조음은 건청인의 조음과 음향음성학적 측면에서 다른 특성을 지닌다. 청각장애인의 자녀는 정상 청각을 지녔어도 그들의 부모로부터 왜곡된 소리자극에 의해 왜곡된 말소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부모의 유아가 산출한 음소를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여 건청부모의 유아와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농부모에 의한 조음 자극이 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3세에서 6세 사이의 9명의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과 9명의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 간 단모음 /ㅣ/, /ㅜ/, /ㅏ/의 포먼트 F1과 F2 및 모음삼각도 면적과 어두 초성 파열음과 어중 초성 파열음의 VOT와 폐쇄기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단모음 /ㅣ/의 F2는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다른 모음에서는 모두 두 집단 간의 F1과 F2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모음삼각도 면적은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넓었다. 어두 초성 및 어중 초성 파열음에서 기식성을 갖는 대부분의 격음과 평음의 VOT가 건청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에 비해 길었으나 어중 초성 파열음 /ㅃ/를 제외한 모든 음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폐쇄기간도 경음과 격음에서 농부모 건청유아 집단이 건청부모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었으나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논의 및 결론: 부모의 청각장애가 음소 습득과 산출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농부모가 건청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지는 않아 그들의 건청유아가 정상적인 말소리 발달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a hearing-impaired person’s speech differ from those of a hearing person’s speech. Despite their normal hearing abilities, children of hearing impaired parents may have different speech patterns from children of normal hearing parents because of the differing speech stimuli they receive from their parents. We studied the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vowels and stop consonants produced by the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to reveal how the speech of deaf parents affect their children’s speech sounds. Methods: Normal hearing children of ages 3 to 6, nine of deaf parents and nine of normal hearing par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first formants (F1) and second formants (F2) of vowels /i/, /u/, /a/ and vowel triangle area as well as the voice onset times and closure durations in CV and CVC of stops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F1s and F2s of all vowels except F2 of /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vowel triangle area of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children of normal hearing parents. The VOTs in all stops except /p*/ in V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Similarly, the closure durations in all sto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show normal development of speech sound acquisition; however, hearing-impairment of parents might affect their children’s speech acquisition to some degree.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정(Mi-Jung Kim),김재옥(Jaeock Kim). (2013).농부모의 건청유아 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1), 107-115

MLA

김미정(Mi-Jung Kim),김재옥(Jaeock Kim). "농부모의 건청유아 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1(2013): 107-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