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Orthographic Knowledge of Hangul Syllable in Alzheimer’s Disease

이용수 608

영문명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한글 철자 지식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윤지혜(Ji Hye Yoon) 김향희(HyangHee Kim) 나덕렬(Duk L. Na) 서미경(Mee Kyung Suh)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47~5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올바른 쓰기 수행에는 발달의 비교적 초기단계에 습득되는 기본적 철자 지식을 바탕으로 언어적 능력과 시공간 구성능력이 필요하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좌, 우반구에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침착되고, 언어능력과 관련있는 측두엽과 시공간 구성능력과 관련있는 두정엽에 위축을 보인다.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쓰기수행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언어적 오류와 더불어 시공간적 오류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쓰기수행 연구에 비하여 한국 알츠하이머성 환자의 철자 지식 및 표상에 대한 능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글 쓰기능력과 관련하여 한글 음절이나 글자에 대한 지식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75명의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글 쓰기 및 한글표상능력 확인을 위한 판단과제를 시행하였다. 결과: 치매중증도가 심한 환자군에서 한글 받아쓰기 수행은 상당히 저하됨에도 불구하고 한글표상능력에서는 약 41.5% 정도의 정반응률이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발달초기에 습득되는 기본적인 한글 음절 및 글자에 대한 지식은 알츠하이머성 치매질환이 진행되면서 환자가 글을 읽고 쓸수 없는 경우에도 여전히 부분적으로 보존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lzheimer’s disease (AD) can cause visuoconstructional and linguistic dysfunction due to bilateral involvement of the tempoparietal-frontal hemispheric areas. At the later stages of disease, the patients often manifest written language impairment. Generalized orthographic knowledge/representation, that is, knowledge of symbol and letter patterns within and across words, is important for written langu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the basic knowledge of the graphemic or syllabic shapes in Hangul as well as Hangul writing ability of those with AD. We hypothesized that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of Hangul syllable might withstand the impact of AD, because the basic knowledge of a letter shape of Hangul might be preserved in this clinical population. Methods: Seventy-five A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 group was divided into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16 were very mild cases (CDR0.5); 37, mild (CDR1); 19, moderate (CDR2); and 3, severe (CDR3). We administered dictation and representation tasks of Hangul syllables and compared the performances among groups. Results: In the writing-to-dictation and representation tasks,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CDR (p<.001). Interestingly, the patients at a later stage of the disease received scores of below 10% on the Hangul writing to dictation task, and 41.5% on the Hangul representation tasks. Conclusion: This finding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orthographic knowledge/representation of Hangul grapheme/syllable may partly withstand the impact of AD.

목차

METHODS
RESULTS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지혜(Ji Hye Yoon),김향희(HyangHee Kim),나덕렬(Duk L. Na),서미경(Mee Kyung Suh). (2013).Orthographic Knowledge of Hangul Syllable in Alzheimer’s Diseas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1), 47-54

MLA

윤지혜(Ji Hye Yoon),김향희(HyangHee Kim),나덕렬(Duk L. Na),서미경(Mee Kyung Suh). "Orthographic Knowledge of Hangul Syllable in Alzheimer’s Diseas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1(2013): 4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