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맥락 및 운율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정서 이해 특성

이용수 1730

영문명
Effect of Context and Affective Prosody on Emotional Percep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찬희(Chan-Hee Kim) 김영태(Young Tae Kim) 이수정(Su-Jeong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24~34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적 운율이해능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맥락(문장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하는 경우, 화자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9-12세의 고기능 자폐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운율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는 운율 단독 제시상황에서 일치하는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정서적 운율(정서 일치, 불일치)과 맥락(문장 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이 함께 제시되었을 때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및 운율의존도과제로 구성되었다. 결과는 집단을 집단간 요인으로, 정서 유형 및 맥락 유형을 집단 내 요인으로 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무의미 문장의 정서적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였을 때, 정서적 운율이해력에 있어서 집단 간이나 정서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맥락의 정서와 일치하는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에도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이해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맥락의 정서와 불일치한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의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의존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맥락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할 때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얼굴표정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가 문장내용맥락, 그림상황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거나 정서가 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동시에 제시하였을 때 비슷한 정서적 운율이해력을 보였다. 그러나, 정서가 불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제시하였을때 고기능 자폐아동은 감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일반아동보다 운율에 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ext and affective prosody on emotional percep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Methods: Fifteen HFA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who were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range, 9 to 12 yea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wo different tasks,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task and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ask. Two way-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emotion types when prosody was given only. 2)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contexts when prosody and contexts were given at the same time. 3) For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HFA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an normal children. There was als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contexts.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facial expression than in lexical content and situation picture.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HFA children were as capable as normal children in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However, HFA children were less dependent on affective prosody to infer the speaker’s emotion than normal children when the emotion in various contexts (lexical contents, facial expressions, and situation pictures) conflicts with affective prosody.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찬희(Chan-Hee Kim),김영태(Young Tae Kim),이수정(Su-Jeong Lee). (2013).맥락 및 운율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정서 이해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1), 24-34

MLA

김찬희(Chan-Hee Kim),김영태(Young Tae Kim),이수정(Su-Jeong Lee). "맥락 및 운율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정서 이해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1(2013): 24-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