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예비 연구

이용수 1046

영문명
A Preliminary Study on Predictors for Elementary Students’ Writing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애화(Ae Hwa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66~75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쓰기는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위해 중요한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쓰기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학생의 쓰기능력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철자와 작문능력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을 각각 선별해서 검사를 구성하여 초등학교 1-5학년 학생에게 실시하였다. 철자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어휘, 표기인식, 형태인식, 자음소리, 단어인지가 포함되었으며, 작문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어휘, 형태인식, 작동기억, 듣기이해, 읽기이해, 철자가 포함되었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와 표기인식이 철자능력에 대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형태인식과 어휘가 작문능력에 대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언어의 투명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영어권에서 실시된 연구결과와 상당히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 연구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writing for success in school, there is a limited amount of research on writing available. Developing writing skills is a demanding task because it requires linguistic awareness as well as reading skil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the writ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riterion variable tests and predictor variable tests for spelling and composition were administe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irst through fifth grade. Through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the predictors for spelling included vocabulary, orthographic processing, morphological processing, letter sound knowledge, and word recognition. The predictors for composition included vocabulary, morphological processing, working memory, listen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lling. Then,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spelling and composition outcom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vocabulary and orthographic process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pelling. Secondly, morphological processing and vocabular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composition. Conclusion: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transparency between the Korean and English orthograph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able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performed in English. The summary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애화(Ae Hwa Kim). (2013).초등학교 학생의 쓰기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예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1), 66-75

MLA

김애화(Ae Hwa Kim).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예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1(2013): 66-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