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능력
이용수 3987
- 영문명
- Conversational Turn-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지은(Jieun Choi) 이윤경(Yoon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12~23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갖고 있어 많은 사회적 상황에서 대화에 어려움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대화능력을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운용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화자료는 10분 동안 대화차례 주고받기 측면에서 대화차례 총 빈도, 대화차례 개시비율, 유지비율, 중첩비율, 중단비율을 측정하였고, 주제운용능력 측면에서는 주제 개시비율, 유지비율, 변경비율 그리고 적절과 부적절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화차례 주고받기 유형에서는 대화차례 주고받기 개시 비율에서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집단이 다른 두 일반아동 집단과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대화차례 총 빈도, 유지비율, 중첩비율, 중단비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제운용능력에서 전체 주제유지비율은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집단이 언어연령 일치집단과 차이를 보였고, 주제개시의 적절, 전체주제 변경, 주제유지의 적절, 주제변경의 적절과 부적절 비율에서는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집단이 다른 두 일반아동 집단과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대화 시 주제를 다루는 주제운용능력에서 가장 큰 취약성을 보였고, 이어서 대화차례 주고받기에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이 대화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후 대화평가와 대화기술 중재에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ve difficulty with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turn-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skill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HF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36 children: 12 children aged 7-12 years old with HFA, 12 normal children matched for the chronological age, and 12 normal children matched for the language age with the HFA group. Conversational samples were collected individually by the examiner. The performances of turn-taking (total frequency,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overlap, and breakdown) and topic manipulation (total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and appropriate/inappropriate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of topic) were measured.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three groups.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in turn-taking,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rates of initiation 2) in topic manip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ropriate rates of initiation, total rates of maintenance, appropriate rates of maintenance, total rates of change, and appropriate/inappropriate rates of change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hool-aged children with HFA have difficulty with turn-taking and topic manipulation in a conversation. These results help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with children with HFA,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HFA.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능력
-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격조사처리능력
- Orthographic Knowledge of Hangul Syllable in Alzheimer’s Disease
-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예비 연구
- 자발화에 나타난 3-4세 아동의 형태소 유형별 유음 발달 특성
- 대인동사의 원인성 이해
- 농부모의 건청유아 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 Speech Adaptation in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Using Accented Sentences
- 우리나라 언어치료사의 핵심역량
- 맥락 및 운율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정서 이해 특성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문맥조건에 따른 소음상황듣기 수행능력
- 일반 대학생의 글쓰기 분석을 통한 성별과 주제에 따른 인과소 차이
-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 상징기호 개발 및 예비타당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