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제언

이용수 285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경제연구원
저자명
이인재
간행물 정보
『한국경제연구원 기타 간행물』정책과제-05, 115~14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26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문제제기 □ 청년 노동시장의 상황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악화 ○2000년 이후 청년노동시장 상황은 상대적·절대적으로 악화 -고용률, 실업률 측면서 지속적으로 악화 ∙2000년~2011년 기간 동안 전체 고용률 대비 청년고용률 비율은 0.742에서 0.685로 지속적으로 하락 ∙전체 실업률 대비 청년실업률 비율은 1.841에서 2.235로 증가 -NEET를 포함한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화의 문제, 청년 비정규직의 증가, 높은 이직률, 경제위기의 취약성 등 청년층 노동시장의 질적인 변화도 발생 □ 청년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가 목적 2. 현황 및 문제점 □ 청년층 노동력의 규모 및 구성은 급격한 변화를 보임 ○2000년 이후 청년층 노동력의 규모 및 구성은 급격한 변화를 보임 -청년층 인구규모 및 비중의 감소 ∙청년층의 인구 규모는 1991년을 12,121천 명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1년 현재 9,589천 명 수준 ∙전체 생산가능인구(15세 이상)에서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1991년 38.4%에서 2011년 23.4%로 크게 감소 -고학력화의 진전으로 청년층 노동력 구성도 급변 ∙대학진학률(전문대 진학률)은 1990년 33.2%에서 2008년 83.8%로 크게 증가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화로 인한 고용률 하락 발생 -고학력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화 진전 ∙실업률의 변화가 크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2000년대 중반 이후 청년고용률의 하락은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15-34세의 비구직 니트의 수가 2011년 100만 명으로 15-34세의 인구의 7.5%를 차지 ∙비구직 니트 중 대졸 이상 학력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고졸 자 비중이 감소하는 특징 □ 청년실업문제의 핵심은 청년층의 고학력화와 노동수요 간 미스매치로 인한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행(school-to-work transition) 실패 ○총량적인 노동수요의 부족보다는 대졸청년 공급, 즉 학력별 일자리 불일치 심화에서 기인 -청년층 전체에 대한 노동수요는 절대적 측면에서나 상대적 측면에서 중장년층에 대한 노동수요에 비해 작지 않았음 -고학력화에 따른 과잉학력으로 유보임금(reservation wage) 상승과 구직 장기화 발생 ∙전문계고 졸업 후 곧바로 취업하는 학생은 10명 중 2명에 불과 ∙전문계고 학생의 대학진학률은 2000년 41.9%에서 2010년 71.1%로 급등 ○노동력의 공급구조가 일자리 구조와 부합하지 못하는 미스매치가 존재 -소수 양질의 일자리를 두고 과다경쟁이 이루어지다 보니 청년층 대기기간이 장기화되고 ‘스펙 쌓기’와 같은 비효율적인 투자가 확대 ∙25~29세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자 비중은 25%로 2003년 이후 매우 빠르게 증가 ∙취업준비자가 누적되면서 취업준비기간도 점점 길어지는 양상 3. 청년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제언 □ 우리 경제의 고용창출 능력 제고가 필요 ○지속적 경제성장을 통한 신규일자리 창출이 필요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장잠재력을 확대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이 감소하면서, 고용창출에서 경제성장이 미치는 역할이 과소평가되고 있음 ∙1990∼2008년 기간의 전체 고용탄력성이 1971∼90년 기간 보다 소폭 낮아졌으나(0.34 → 0.27),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변화는 아님 ∙일부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고용 없는 성장’이 심각한 상황은 아님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함 -규제완화 등 서비스업 선진화 정책 등을 통하여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고용의 질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서비스업에는 상대적으로 고용의 질이 낮은 일자리가 창출될 가능성이 높음 ∙이는 청년층 노동력의 고학력화와 맞물려 청년고용 증대에 한계 요인으로 작용 ∙따라서 규제완화 등 서비스업 선진화 정책 등을 통하여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고용의 질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 제기 □ 청년실업문제의 관점에서 한국의 고용보호법제 개혁의 필요조건은 정규직의 고용보호완화 ○높은 수준의 고용보호는 여성, 청년층 및 고령자의 고용에 부정적 영향 -높은 수준의 고용보호는 기간 연령층 남성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그러나 여성, 청년 및 고령층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정규직 고용보호의 완화가 이루어져야 노동시장의 구조가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되고 청년층 고용이 활성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중의 하나는 고용 보호법제의 개편 ∙비정규직의 고용보호수준을 높일 경우 비숙

영문 초록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현황 및 문제점
3. 청년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재. (2012).청년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제언. 한국경제연구원 기타 간행물, 2012 (5), 115-147

MLA

이인재. "청년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제언." 한국경제연구원 기타 간행물, 2012.5(2012): 115-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