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엄선사 「三花傳」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이용수 88

영문명
A Study on the Reality of Characters and Spaces in Samhwajeon by Choeomseonsa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하강진(Ha, Kang-Ji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9집, 5~4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엄선사가 지은 「삼화전」은 불가(佛家)의 전 문학의 양상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의인화된 대상물로 규정하거나 공간배경을 초엄의 실제 삶과는 밀착되게 해석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초엄선사의 생애를 재구성하고, 이를 연결고리로 삼아 작품 내적 세계의 성격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했다. 초엄선사는 1828년경 영남의 고성에서 박씨 가문의 아들로 출생했는 데, 적어도 1843년 출가하여 이듬해 고성 옥천사에 득도(得度)했다. 그리고 늦어도 1852년 이후 박치복과 강위에게 시문을 익혀 명성을 얻었다. 하지만 세상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고, 불교 경전을 철저히 강학하고 무주(無住)의 참선을 수행하여 심오한 불교 진리를 깨달았으며, 말년에는 전국 산천을 주유하며 무아(無我)의 대 자유를 누리다가 1880년대 이후 변방의 사막에서 입적한 것으로 보인다. 「삼화전」은 작가가 삼화로 대칭된 탁전(托傳)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주인공 삼화와 이를 둘러싼 여러 보조인물이 모두 역사적 실존인물들임을 주목해야 한다. 이를 간과할 경우 「삼화전」을 가전(假傳)적 성격으로 보고 인물들을 의인화된 학, 소나무, 화초, 대나무 등의 자연물로 치환해 버리는 논리에 이르기 때문이다. 작품 내에 설정된 공간도 모두 실재한 현장으로서 삼화가 계기적으로 구도한 장소라는 사실이다. 「삼화전」은 평범하고 완고했던 개인이 원숙한 불교 각성자로 변모하기까지의 내면 변화를 묘사하고 있다. 삼화의 각고의 구도 과정에 매개된 실재 인물과 공간을 차례로 나열함으로써 내면 체험의 진실성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 interpret the world figured in the work of the Samhwajeon(三花傳) which reflected reality and to standpoint lifetime of Choeomseonsa(草广禪師) who is self-praise the Samhwajeon. The Choeom who was born about 1828 Park’s family in Gohseung(固城), Young Nam(嶺南). He had became a Buddist monk at the Okcheonsa(玉泉寺) in 1843. When he was young, he learned poetry and prose from Park, Chi-Bok(朴致馥) and Kang, Ui(姜瑋). But he was unappreciated and undervalue. The Choeom realized the truth of Buddhist his latter year after that he make a trip around the country to enjoy the enduring spirit of freedom and pass away enter Nirvana 1880s in desert of rural outpost. The seokjeonjeonho(石顚鼎鎬) praised Choeom highly for one of the poets of monk then he was regulation to equalized level of Choiseonsa(草衣禪師). He was gathered Choeomyugo(草广遺稿) to catch Choeom’s who was contribution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inner space attention. The Samhwajeon which is the front part of Choeomyugo was nominated as a main character. However we watched secondary characters who were historical characters. If we passed over, secondary characters simply awareness natural objects which are crane, pine tree, flower, and bamboos pace of book as well. And spaces as a religious life in the work are real existence. The Samhwajeon was described individual who is main character from conventionalist to reached nirvana. The motivation of autography of Choeom is provide inner honest and to find characteristic which is type of writing Buddhism.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초엄선사 생애의 재구
Ⅲ. 「삼화전」 등장인물의 역사성
Ⅳ. 「삼화전」 공간배경의 현장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강진(Ha, Kang-Jin). (2011).초엄선사 「三花傳」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한국문학논총, 59 , 5-41

MLA

하강진(Ha, Kang-Jin). "초엄선사 「三花傳」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한국문학논총, 59.(2011): 5-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