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Korean Presidential Regime and its Future

이용수 247

영문명
한국의 대통령제와 전망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박인수(In Soo PARK)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7卷 第2號, 531~5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현행 헌법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공헌해 온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현행 헌법에는 다음의 두가지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의원내각제적 요소와 대통령제적 요소가 복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의회에 대한 대통령의 우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둘째 대중영합주의(populism)에 의한 정치적 교착상태가 종종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치적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예견되어 있지 아니하다는 점이다. 국회 헌법연구위원회가 두 개의 중요한 모델 즉 순수대통령제와 합리적 대통령제를 헌법개정안으로 제시한 바 있다. 한국은 미국과 같은 연방국가가 아니라 단일국가이다. 미국에서 연방제는 엄격한 권력분립제의 가장 중요한 메카니즘이라 볼 수 있으며, 엄격한 권력분립제도는 미국의 정치제도를 성공적으로 견인한 주춧돌이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 지방분권만을 아무리 강화한다고 하더라도 미국의 연방제와 같은 성공적인 정치제도의 실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즉, 연방국가가 아닌 단일국가의 경우에는 지방분권제도가 충분히 확립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엄격한 권력분립제도에는 이를 수 없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순수대통령제로의 회귀가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권력분립에 대해 강한 주안점을 두는 제도는 현재 실현되고 있지 않지만 가능한 목표로서 설정할 수는 있다. 이러한 제도는 양원제에 기초한 분권제도로 구성되어질 것이다. 한국의 경우, 대통령과 의회를 각각 민주적 정당성 기관으로 확보하고 있으므로 의회만을 민주적 정당성 기관으로 하는 고전적 의원내각제 보다는 이러한 두 개의 민주적 정당성 기관을 전제로 하는 분권적인 합리적 대통령제를 해결책으로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본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 present Korean Constitution has certain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However, it is also responsible for two major weaknesses: presidential pre-eminence on account of a presidential regime with certain elements of a parliamentary regime, and, occasional political deadlock through populism. Two important models, the pure presidential regime and the rational presidential regime are suggested for revision by the Commission for the Study of the Constitution set up by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 Assembly. Korea must consolidate its democratic justification (legitimacy) as strongly as possible, with two legitimacies rather than one (that of a classic parliamentary system based on National Sovereignty). Two political regimes – a pure presidential regime and a rational presidential regime – have double legitimacies. As Korea is a unitary state and not a federal one like the US pure presidential regime. The solution of the rational regime seems better adapted.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Evolutions of the Presidential regime in Korea
Ⅲ. Two Important Models for a Constitutional Revision
Ⅳ.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인수(In Soo PARK). (2011).The Korean Presidential Regime and its Future. 세계헌법연구, 17 (2), 531-556

MLA

박인수(In Soo PARK). "The Korean Presidential Regime and its Future." 세계헌법연구, 17.2(2011): 531-5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