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SHA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의 한국어판 번안

이용수 1917

영문명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Korean Versio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최혜윤(Hye-Yoon Choi) 김용욱(Yong-Wook Kim) 나동욱(Dong-Wook Rha) 김향희(HyangHee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388~396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능력은 심리사회적 적응 및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 QCL, 이하 QCL)를 우리말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청각장애 및 정상청력 청소년에게 시행하였다. 방법: 대상자로는 언어치료를 받고 있거나 농학교에 재학 중인 만 13~18세의 청각장애청소년 90명, 그리고 이들과 성별 및 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청력 청소년 180명을 포함하였다. QCL과 PedsQL을 실시한 후 비교하고, 문항 내적일관성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내용타당도, 대면타당도, 공인타당도 및 내적 구성타당도를 산출하였다.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QCL은 높은 문항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지니고 있으며,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높은 타당도를 보여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평가도구로서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QCL을 우리말로 타당하게 번안하고 검증하여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QCL을 다양한 의사소통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QCL이 치료 및 중재 계획과 목표 설정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언어치료를 통해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을 증진하는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Communication skills are required for interacting with others and for psychosocially adapting to society. Therefor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 (QCL) was adapted from the English version and was implemented on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normal hearing in order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In the study, 90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the ages between 13 and 18 who were enrolled in a school for the deaf or who were recieving speech therapy were assessed wirh the QCL and the PedsQL. Some of the adolescents were also receiving speech therapy. An additional 180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within the same age range and similar gender factors were also assessed as a control group. The outcomes of the QCL and the PedsQL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est-retest reliability, content validity, face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construct validity were measur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Further, the QCL explained high inter-relations for each question and high test-retest reliability. The test was also determined to be a highly valid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Discussion &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llustrates the validity of adapting the QCL into a Korean version. Future research should be directed at applying the Korean version to various communication disorders and age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 1〉 QCL 문항 내용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윤(Hye-Yoon Choi),김용욱(Yong-Wook Kim),나동욱(Dong-Wook Rha),김향희(HyangHee Kim). (2011).‘ASHA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의 한국어판 번안.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 (3), 388-396

MLA

최혜윤(Hye-Yoon Choi),김용욱(Yong-Wook Kim),나동욱(Dong-Wook Rha),김향희(HyangHee Kim). "‘ASHA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의 한국어판 번안."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3(2011): 388-3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