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성인 인구의 주관적 음성문제와 직업 요인

이용수 633

영문명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 the General Populatio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변해원(Haewon Byeo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360~371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많은 연구들에서 직업은 음성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고, 최근 단면연구에서 주관적 음성문제는 병인학적 음성장애의 독립적인 위험 지표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역학자료를 사용하여 근로자의 주관적 음성문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직업과 주관적 음성문제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에서 건강설문조사와 이비인후검진을 모두 완료한 전국의 19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 4,601명(남 1,988명, 여 2,6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업은 6차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직업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비교는 교차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직업과 주관적 음성문제의 관련성 파악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통제변수는 연령, 성, 교육수준, 소득 사분위수, 흡연여부, 음주빈도, 갑상선 장애 유병, 최근 2주동안 만성ㆍ급성 질환 및 사고ㆍ중독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 여부를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4,601명의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율은 6.0%였고, 서비스종사자(7.8%), 단순노무종사자(7.7%),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7.4%), 군인(6.9%), 관리자(6.2%) 등의 직업에서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율이 평균보다 높았다. 현재 취업자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통제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무직자, 학생, 주부 등의 비경제활동인에 비해서 비육체노동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1.7배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육체노동자의 경우에는 교차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최장 직업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통제변수를 보정했을 때, 비경제활동인에 비해서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3.5배 더 높았고, 서비스 종사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2.7배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직업을 구분했을 때,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서비스 종사자는 음성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후에도 주관적 음성문제의 잠재적 위험요인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음성문제의 위험이 높은 직업에 대한 음성 관리와 음성장애 예방을 위한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Considering the numerous studies on subjective voice complaints among professional voice users, it is clear that subjective voice complaints are currently quite comm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cross-section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 the South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national-survey data.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4,601 persons (1,988 male; 2,613 female) aged 19-60 in South Korea. Occupation was defin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 test,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revalence of self-reported voice problems was 6.0%. In the logistic-regression analys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non-manual workers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voice problems (OR=1.67, 95% CI: 1.23-2.26), but the opposite was true for manual workers. Adjusting for covariates, professionals (OR=3.51, 95% CI: 1.34-9.19) and service workers (OR=2.68, 95% CI: 1.02-7.06)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voice problem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non-manual workers, particularly professionals and service workers, are at a higher risk of developing voice problems compared to other occup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해원(Haewon Byeon). (2011).한국 성인 인구의 주관적 음성문제와 직업 요인.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 (3), 360-371

MLA

변해원(Haewon Byeon). "한국 성인 인구의 주관적 음성문제와 직업 요인."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3(2011): 360-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