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킴장애를 보이는 뇌졸중환자의 침습 및 흡인에 따른 설골 이동범위 특성

이용수 773

영문명
Displacement of the Hyoid Bone among Normal, Aspirated, and Penetrated Swallows in Post-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황우섭(Wooseop Hwang) 하승희(Seunghee Ha) 황수진(Sujin Hwa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372~387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설골의 이동 범위는 후두덮개의 이동, 후두의 상승, 그리고 반지인두근의 열림에 영향을 미치며 흡인을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많은 선행연구에서 설골의 전방 이동, 상승 이동, 전방-상승이동으로 다양한 설골의 이동범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되고 있는 세 가지 정량화된 측정방법을 가지고 삼킴 장애를 보이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상 삼킴, 침습, 흡인 삼킴에 따라 설골의 이동범위가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어떠한 측정 방법이 삼킴 유형에 따른 차이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 삼킴 장애를 보이는 뇌졸중환자 30명을 대상으로 5cc액체를 2회씩 평가하였다. 그러나 첫 번째 삼킴에 흡인을 보였을 경우 안정상의 이유로 1회만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 대상자에게서 얻어진 총 삼킴 횟수는 58개이며 각 삼킴은 정상 삼킴 25개, 침습 18개, 흡인 15개의 삼킴 유형으로 평가되었다. 침습 및 흡인의 시기는 설골의 이동과 연관을 짓기 위해 삼킴 도중 및 삼킴 후로 제한하였다. 설골의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1) 최대 전방 이동범위, (2) 최대 상승 이동범위, (3) 최대 전방-상승 이동범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설골의 최대 전방 이동범위와 최대 상승 이동범위는 삼킴 유형 간(정상 삼킴, 침습, 흡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설골의 최대 전방-상승이동범위는 정상 삼킴이 흡인 시 보다 큰 설골의 이동범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설골의 움직임 범위가 작을수록 흡인이 일어날 확률이 높음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설골의 최대 전방 이동범위와 최대 상승이동범위를 각각 측정하는 것 보다 전방과 상승이동을 동시에 나타내는 설골의 최대 전방-상승이동범위를 측정하는 것이 흡인을 예견할 수 있는 지표로 보다 적절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설골 이동범위의 정량화된 측정은 환자의 치료 전과 후를 비교할 때에도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Displacement of the hyoid bone is important for predicting aspiration as it influences epiglottic inversion, laryngeal elevation, and cricopharyngeal muscle ope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splacement of the hyoid bone among normal, aspirated, and penetrated swallows in post-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using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Also, the study aimed to explore which quantitative measures best explained the differences among normal, aspirated, and penetrated swallows. Methods: Thirty post-stroke patients showing dysphagia received videofluoroscopic swallow assessment. Subjects performed two swallows of a 5cc bolus of liquid barium. Subjects who showed aspiration during the first swallow did not proceed to the next swallow for safety reasons. Fifty-eight swallows from 30 patients were divided into 25 normal swallows (non-penetration and aspiration), 15 aspirations, and 18 penetrations. Three measurements reflecting the movement patterns of the hyoid bone, (1) maximum anterior displacement of hyoid bone, (2) maximum superior displacement, and (3) maximum anterior-superior displacement, were obtained. Results: Maximum anterior displacement and maximum superior displacement of the hyoid bon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types (penetration, aspiration, non-penetration and aspiration). However, maximum anterior-superior displacement in non-penetration and aspiratio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in aspiration. Discussion &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finding that the limited displacement of the hyoid bone increases the risk of aspiration during and after swallow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maximum anterior-superior displacement, which reflects simultaneous anterior and superior displacement of the hyoid bone, might be a more appropriate predictor of aspi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displacement of hyoid bone can be used to objectively evaluate patients’ swallowing abilities and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우섭(Wooseop Hwang),하승희(Seunghee Ha),황수진(Sujin Hwang). (2011).삼킴장애를 보이는 뇌졸중환자의 침습 및 흡인에 따른 설골 이동범위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 (3), 372-387

MLA

황우섭(Wooseop Hwang),하승희(Seunghee Ha),황수진(Sujin Hwang). "삼킴장애를 보이는 뇌졸중환자의 침습 및 흡인에 따른 설골 이동범위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3(2011): 372-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