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가자 집단에 따른 말더듬 순간 판단 비교

이용수 623

영문명
Comparison of Stuttering Event Judgment Made by Different Observ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남은주(Eun-Joo Nam) 이은주(Eun-Ju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312~32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경험 또는 말더듬 관련 지식이 말더듬 순간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 평가자 집단(말더듬는 사람, 말더듬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 말더듬 진단 및 치료 경험이 있고 말더듬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언어치료사)의 말더듬 순간 판단 결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말더듬 성인 10명, 일반 성인 10명 그리고 언어치료사 10명에게 말더듬 성인 10명의 발화샘플을 실험 과제로 제시하였고, “Catch it”(이은주, 2010)을 사용하여 말더듬 순간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말더듬 순간 판단결과는 말더듬 확인 빈도수, 일치율로 분석하였다. 결과: 말더듬 확인 빈도수는 언어치료사가 가장 높았고, 말더듬 성인, 일반 성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발화샘플의 말더듬 중증도가 심할수록 언어치료사 집단의 말더듬 확인 빈도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말더듬 중증도가 약할수록 말더듬 성인 집단의 말더듬 확인 빈도수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말더듬 판단 순간의 위치 일치율은 언어치료사가 가장 높았고, 일반 성인, 말더듬 성인 집단의 순서로 높은 일치율이 나타났다. 말더듬 중증도가 심할수록 세 집단 모두 말더듬 위치 일치율이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평가자 집단의 말더듬 관련 경험과 지식에 따라 유창성장애 평가 시 말더듬 판단 빈도 및 일치율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발화샘플의 말더듬 중증도와도 관련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말더듬 치료에는 말더듬 순간을 조절하는 것이 포함되기도 하므로 중재 과정에서는 말더듬 순간을 판단하는 것에 대해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말더듬 평가와 치료에 효과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compar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judgment of stuttering events between three observer groups: people who stutter (PWS), normal people who do not stutter (PWNS), and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s with experience in stuttering diagnosis and treatment along with professional knowledge (S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 stutterers, 10 non-stutterers and 10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s. Speech samples of 10 stutterers who also participated as observers were collected and presented for test. The samples were tested with “Catch it” (Lee, 2010). Each group’s stuttering event judgmen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location agreement. Results: S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number in judgment of stuttering, followed by PWS and then PWNS. When stuttering was severe, ST frequency reached its maximal value, and when stuttering severity was mild, PWS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the other groups. For the location agreement rate, ST showed the most accurate scores, followed by PWNS and then PWS. Additionally, the more severe was the stuttering, the greater was the accuracy in location agreement rate among all three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ults of fluency disorder evaluation vary by observer group, and that frequency and agreement are related to stuttering severity. Accordingly, the stuttering event needs to be carefully defined, and an effective approach to evaluation and treatment is needed considering each group’s differences in judg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 1〉 말더듬 성인 집단 정보
〈부록 - 2〉 언어치료사 집단 정보
〈부록 - 3〉 집단별 말더듬 확인 위치(구간) 수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은주(Eun-Joo Nam),이은주(Eun-Ju Lee). (2011).평가자 집단에 따른 말더듬 순간 판단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 (3), 312-323

MLA

남은주(Eun-Joo Nam),이은주(Eun-Ju Lee). "평가자 집단에 따른 말더듬 순간 판단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3(2011): 312-3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