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동 동사 ‘進ㆍ出ㆍ就’의 의미범주 연구

이용수 182

영문명
A Study on the Semantic Category Between ‘進’, ‘出’ and ‘就’ of the Movement Verb in the Samkuksaki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송병우(Song Byung-Woo)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3輯, 215~23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삼국사기』에서 이동 의미를 나타내는 ‘進’과 ‘出’, 그리고 ‘就’의 의미 자질 분석을 통해 이들 단어의 고유한 의미범주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 세 단어는 일반적으로 ‘어느 곳을 향해 나아가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한국어로 ‘나아가다’, 혹은 ‘나가다’로 옮겨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 단어는 의미 요소가 중첩되는 경향을 띠면서 의미적 유시정을 가진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연 이들 세 단어의 의미 요소가 완벽하게 중첩되지는 않는다. 이는 이 세 단어의 의미범주에서 교집합을 구성하는 요소가 많긴 하지만 그 교집합 영역에 들지 않는 각각의 고유한 의미 영역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들 단어의 의미적 독자성은 바로 이러한 고유한 의미 영역에 의존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이들 단어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고유한 의미 영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단어에서 나타나는 이동 주체는 불특정 다수의 모든 사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주체는 이들 세 단어의 고유한 독자성을 형성하는 의미 요소가 될 수 없다- 둘째, 이동의 출발항과 도달항의 측면에서, ‘進’에서는 출발항과 도달항이 모두 명시적이지 않다. 이는 출발항과 도달항이 ‘進’이 나타내려는 의미에서 중요한 요소, 즉 필수항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出’에서는 출발항은 대부분 명시적이거나 혹은 명시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전후 문맥에서 확실히 보이지만, 도달항은 명시적이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出’ 이 나타내는 이동의 의미에서 출발항이 필수항이고 도달항이 선택항이기 때문이다. 한편 ‘就’에서는 출발항이 대부분 명시적이지 않고, 도달항이 상대적으로 명시적이다 ‘就’가 나타내는 이동 의미에서 도달항이 필수항이고 출발항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선택항이기 때문이다. 셋째, 이상을 통해 ‘進’의 의미는 불특정 다수의 이동 주체가 앞에 있는 불분명한 한 지점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정보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進’은 이동의 과정 그 자체를 나타내는데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다. ‘出’은 불특정 다수의 이동 주체가 출발항에서 벗어나는 이동을 정보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出’은 출발항과 그 영역에서 벗어나는 이동을 나타내는데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다. ‘就’는 불특정 다수의 이동 주체가 특정 대상 공간인 도달항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정보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달항과 그 영역으로 향하는 이동을 나타내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different semantic category among ‘進’, ‘出’and ‘就’ through analyzing the semantic features of them used in Samkuksaki. The three words are typically used to represent the meaning of a going forward somewhere, and are generally translated into ‘advance’ ‘proceed’ and ‘go[move] forward’ in Korean language. At that meaning, semantic factors of the three words tend to be overlapped and the words have a semantic similarity. But strictly speaking, semantic factors of the three words are not overlapped perfectly. This mean that there are lots of the semantic factors composing intersection in the semantic categories. The identity of the words depends on the unique semantic domain. According this study, unique semantic domain maintaining the identity of the word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a main agents of movement are open to a everyone of a unspecified individuals, a main agents, therefore cannot become the semantic factor composing the identity of the words. Second, looking into the starting point and arrival point, 進 does not have oven starting point and arrival point. This shows that the starting point and arrival point are not important, in other words, they are not the necessary elements in the meaning of the 進. On the other hand, 出 has oven starting point mostly. Even if a starting point is not oven in the sentence which 出 is used, we can find them from its context easily, but a arrival point is not oven mostly. This shows that a starting point is a necessary element and arrival point is a optional element in the meaning of 出. A starting point, meanwhile, is not oven but arrival is oven in the sentence which 就 is used. This shows that a starting point is a optional element but a arrival point is a necessary element in the meaning of 就. Third, through above discussion, the meaning of 進 is to informationize the process that a unspecified individual go forward a unspecified space. 進 therefore,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moving. The meaning of 出 is to informationize the movement that a unspecified individual get out of the area of the starting point. 出, therefore, is focused on the starting and getting out of the it. The meaning of 就 is to informationize the movement that unspecified individual go forward a arrival point that is targeted space. 就, therefore, is focused on a arrival point to be targeted space, and going forward i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동 동사로서 ‘進ㆍ出ㆍ就’의 의미적 유사성
Ⅲ. 이동 동사로서 ‘進ㆍ出ㆍ就’의 의미범주 변별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병우(Song Byung-Woo). (2011).이동 동사 ‘進ㆍ出ㆍ就’의 의미범주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33 , 215-236

MLA

송병우(Song Byung-Woo). "이동 동사 ‘進ㆍ出ㆍ就’의 의미범주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33.(2011): 215-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