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근대 서화계의 형성과 성격

이용수 848

영문명
Formation and Character of the Korean Calligraphic Painting Circles in the Modern Times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이성혜(Lee Seong-hea) 강명관(Kang Myeong-kwa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3輯, 301~3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 예술사에 일어난 변화를 전제하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한 근대의 시작,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한국의 근대적 서화계의 형성과 그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의 근대 서화계는 갑오개혁 이후 서화가들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활동으로 형성된다. 서화가들은 자신들만의 조직을 만들고, 자발적으로 서화를 생산하며, 판매하고, 유통하는, 서화와 관련된 메커니즘 전체를 관장하였던 것이니, 이것을 우리는 서화계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근대적 서화계는 과거 官과 사대부 사회를 존립 근거로 삼았던 전근대의 서화계와는 그 성격이 사뭇 다른 것이다. 근대적 서화계는 출현했지만, 서화가들이 당면한 문제는 간단치 않았다. 근대에 있어서 ‘서화란 무엇인가?’라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이들은 당시 유행했던 문명담론을 서화와 연결시켰다. 곧 서화로 문명을 이루는 것은 물론 국가의 발전도 이룩할 수 있다는 논리를 제시했던 것이다. 하지만 변영로의 날카로운 질문, 곧 서화에서 문명적인 것, 민족적인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당시의 서화계는 쉽게 대답할 수 없었다. 대답이 궁했던 것은, 급속한 식민지적 근대화에도 원인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한국 서화계의 출발은 처음부터 일제와 친일관료들이 깊숙이 개입하였다. 서화가들은 또 자신들의 존립을 위해 일제와 친일관료를 거부하기보다는 그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이런 선상에서 1922년 5월 조선총독부가 조선미술전람회를 설립하자 서화계는 참여하지 않을 수 없었고, 당시 제기되었던 한국 서화의 문명화와 민족적 성격에 대해 모색할 여유가 없었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서화가들이 전근대에 가졌던, 사대부 체제에 의존했던 기생성을 청산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서화가 대부분은 일제나 친일관료에 대한 비판적 의식이 결여되어 있었다. 당시 한국 서화가들의 모든 활동에는 대부분 일제와 친일관료가 관여하였는데, 이는 일제와 친일계의 권력과 자금력, 서화 구매능력을 높이 평가한 서화가들이 그들에게 쉽게 손을 내밀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서화가들은 서화와 서화가의 존재와 자립, 서화의 근대화, 이를 위한 문명에 몰두했지만, 그 문명의 주체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았던 것이다. 서화가들의 문명의 주체에 대한 심각한 고민의 결여와 자립과 생존을 위한 안이한 타협으로 한국 근대 서화계는 총독부가 주최한 조선미술전람회가 개최되자 심각하게 붕괴되었으며, 식민화되어갔다. 그 결과 이른바 한국화에 일본적 색채와 스타일이 스며들게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한국화라는 이름보다는 동양화로 불리고, 동양화라고 하면 梅蘭菊竹의 문인화와 산수화를 떠올리는 등 전근대적 요소를 그대로 가지게 된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character of the Korean calligraphic painting circles in the modern times. For the examination, the study prior considered how the art history of the late Joseon period was changed as the nation was forced by the outside power to enter the modern times. Since the Gabo Reforms(甲午改革), calligraphic painters of Joseon began independent activities at their will, resultantly forming their modern circles. In other words, those painters organized themselves and voluntarily produced, sold and distributed calligraphic paintings. They were in control of the entire mechanism related to calligraphic paintings. At that time, however, calligraphic painters were asked a serious question, 'how can calligraphic paintings be significant in the modern times?'. They gave an answer, associated with the then dominant discourse on civilization, that calligraphic painting could contribute to n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civilization formation. But those painters couldn't easily respond to a stingy question from Byeon Young Ro(卞榮魯), 'which part of calligraphic painting is something civilizing or national ?' This is part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Joseon was rapidly moderniz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ese imperialists and pro-Japanese bureaucrats were deeply involved in the Korean calligraphic painting circles from their outset. For their survival, members of the circles asked those imperialists and bureaucrats to provide financial supports, rather than rejecting the colonial powers. Therefore, those members couldn't help participating in the Joseo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Joseon began to host from May 1922. Under this circumstance, they had no room for considering or establishing the civilizing and national attributes of Korean calligraphic painting. This suggests that calligrahic painters of the modern times were still in a situation like they depended on the pre-modern system of ruling by the noble class. Most of the painters lacked in the spirit of critcism about Japanese imperialists and pro-Japanese bureaucrats All of their activities involved the colonizers because the then calligraphic painters themselves just tried to rely on Japanese imperialists and pro-Japanese bureaucrats since they already realized those who were faithful to the Japanese colonial system were really powerful and financially strong enough to easily purchase calligraphic paintings. In conclusion, painters of the above modern circles that were form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worked on civilizing calligraphic painting for the existence and survival of the painting and themselves, but they were not so serious about who should lead that civiliz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근대적 서화계의 형성
Ⅲ. 근대적 서화계의 성격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혜(Lee Seong-hea),강명관(Kang Myeong-kwan). (2011).한국 근대 서화계의 형성과 성격. 동양한문학연구, 33 , 301-324

MLA

이성혜(Lee Seong-hea),강명관(Kang Myeong-kwan). "한국 근대 서화계의 형성과 성격." 동양한문학연구, 33.(2011): 301-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