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한 학계의 동북공정 대응논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용수 2441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n the State of South Korean Historian’s Response to China’s Northeast Project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영심(Kim, Young-shim, 金英心)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9집, 135~17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고는 중국의 동북공정 이후에 나온 남한학계, 주로 고구려사 연구자의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논리를 검토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2003∼2004년에 걸쳐 수차례의 학술회의를 개최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했던 남한학계는 연구의 양적 증가에 상응하는 질적 수준의 제고는 이루지 못했다. 고구려연구재단과 그 뒤를 이은 동북아역사재단의 지원 하에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오히려 연구영역이 제한되고, 연구역량이 소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 것이다. 동북공정의 주요 논거가 되었던 고구려의 족원 및 건국지역,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 역사의 계승과 계승의식, 고구려사의 정체성 및 귀속의식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연구성과물을 검토한 결과 중국과의 관계, 특히 조공ㆍ책봉 문제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조공ㆍ책봉관계의 시기별 변화상과 특징을 세밀하게 파악하여 ‘중국의 지방정권’이라는 논리의 허구성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조공ㆍ책봉관계의 성립 시점은 언제인지, 조공ㆍ책봉관계 성립 이전의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는 어떠했는지 미해결의 과제도 적지 않다. 고구려의 족원에 대해 중국측은 ‘多民族 기원설’에 입각하여 고구려 초기 단계부터 여러 종족의 융합으로 형성된 ‘高句麗族’을 상정하고 있다. 남한학계에서도 고구려의 족원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진 편이나, ‘濊ㆍ貊’ 문제가 논의의 초점이 되었고, 중국학계의 주장처럼 고구려 건국 단계부터 ‘고구려족’ 내지 ‘고구려인’을 상정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둘러싸고 논란이 있다. 이는 고구려의 형성 및 성장과정을 좀 더 치밀하게 규명함으로써 해결될 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한 해명은 건국지역과 한 군현의 영향 문제를 둘러싼 중국학계와 남한학계의 논란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남한학계에서는 압록강 중상류의 적석총 축조집단이 모태가 되어 고구려가 건국될 때는 이미 현도군의 통제를 벗어난 시점이라는 데에 의견이 모아졌지만, 幘溝漊의 설치 시기나 설치의 의미에 대한 입장은 여전히 차이가 있는 실정이다. 고구려사의 계승, 계승의식과 관련해서는 고구려 유민의 향방이나 고려의 고구려 계승 문제 등에 집중해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계승 문제는 귀속된 유민의 숫자나 땅의 넓이보다는 유민의 自意識과 계승의식이 중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고구려의 정체성과 귀속의식 문제는 고구려와 관련된 모든 요소를 고려한 최종 결론적 성격을 갖는데, ‘고대 중국의 지방정권’이라는 중국학계의 주장에 맞서 남한학계에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역사에 대한 귀속성 판단의 기준으로서 당대인의 역사의식과 소속감, 계승성 등을 제시하고 고구려의 天下觀에 주목하기도 했다. 이뿐 아니라 고구려라는 나라를 ‘영위한 주체’와 ‘지향성’의 문제도 고려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빈약한 고구려의 사회ㆍ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척시킬 필요가 있다.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대한 연구 수준을 제고하여 체계적인 논리를 개발하는 일에는 비단 고구려사연구자, 한국사 연구자만이 아니라 인접학문 분야 연구자와의 협력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review of South Korean scholars’ research against China’s Northeast Project. While the South Korean scholars showed their efforts to cope with China’s Northeast Project through the several academic meetings during the 2003∼2004, their research achievements still needs refinements and the progress in constructing their arguments. My review can be divided into four parts, including the ethnic origin of Koguryo and founding ground, the relationship with China,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Koguryo’s historical identity. I found that South Korean scholars’ researches are concentrated on the issues on the relationship with China, especially on the System of Tribute and Appointment. Their researches point out the fictitious aspects of China’s Northeast Project’s argument -Koguryo is one of China’s regional governments-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changes and conspicuous characteristics along the time. South Korean scholars also investigated the ethnic origin of Koguryo, however, their research area was centered on the issue of Yae/ Maek race. Regarding the issue of postulating the Koguryo race or the Koguryo people from the stage of foundation of the state as the Chinese scholars assert, South Korean scholars’ views are not consolidated. This issue can be clarified through the more thorough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guryo. The researches on the succession of Koguryo and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of Koguryo were carried out with the focus on the migration of refugees of Koguryo and the Koryo’s succession of Koguryo. South Korean scholars strongly argued that there were Koguryo’s own state identity and the Koguryo people’s self-consciousness of belongings to their country, and refuted the Chinese scholars’ assertions of Koguryo as a regional government of China. South Korean scholars suggest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at day and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as criteria for the consciousness of belongings to their country, and also payed the attention on the Koguryo people’s view of the universe. In addition, we need to examine carefully the constituency of elite group who were in charge of Koguryo, and their value-orientation.

목차

Ⅰ. 머리말 :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과정
Ⅱ. 고구려의 기원에 대한 대응논리
Ⅲ. 중국과의 관계에 대한 대응논리
Ⅳ. 역사의 계승과 계승의식에 대한 대응논리
Ⅴ. 고구려의 정체성, 귀속의식에 대한 대응논리
Ⅵ. 맺음말 : 연구성과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연구방향의 모색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심(Kim, Young-shim, 金英心). (2011).남한 학계의 동북공정 대응논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역사문화연구, 39 , 135-171

MLA

김영심(Kim, Young-shim, 金英心). "남한 학계의 동북공정 대응논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역사문화연구, 39.(2011): 135-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