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동화 『바리왕자』의 상호 텍스트성과 설화적 요소
이용수 124
- 영문명
- Intertextuality and elements of Tales History fairy tale 『Bari Princ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안수정(Su-jung, A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8輯, 261~2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characteristic of history fairy tales based on specific records of an official history and literacy expression for those children was compressed into ‘intertextuality’ and ‘elements of Tales’. And through the history fairy tale 『Bari Prince』’s work analysis had specifically listed the fact. The author was combined the fact and imagination to realize the theme and to evoke contemporary emotion.
The creation of history fairy tale 『Bari Prince』was involved in the historical record and elements of Tale. To find that the first summarized the relevant records of 『Samguksaki』(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specific contents of 〈Princess Bari〉(shamanism song) and expressive techniques of 〈Underground against enemy tales〉. So summarized with seven kinds of similarity in narrative structure and insertion of five kinds of treasure pixels.
Looking for evidence of the King Bongsang and the King Micheon in『Samguksaki』, the role of a loyal retainer Changcholee was highly emphasized until Eulbul(the King Micheon) sat on the throne and have been recorded focus on the King Micheon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how to efforts territorial expansion. But 『Bari Prince』was shaped as a feature story in addition to elements of tale to a short story from Eulbul born to be the King. The contents also was put on the weight Eulbul their efforts and realize the process than any powerful marginal.
History fairy tales for children can be effective two of more by providing historical facts and literacy imagination. The author when the creator of history fairy tales based on the records of history, give accurate information on classics(text) and save good contents is proper attitude, get out to cling lesson and necessary efforts to highlight for contemporary themes and various attempts for modern adaption.
목차
Ⅰ. 서론
Ⅱ. 상호 텍스트성
Ⅲ. 설화적 요소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시에 미친 동양 미학의 영향
- 남부지역 방언의 운율체계 비교 연구
- 韓國詩話에 구현된 妾한시의 미적특질
-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말 술어 생략 현상에 대한 연구
- 박완서 노년 소설 연구
- 연재 송병선의 유기문학 연구
- 국어 표기 규범화 과정에서 나타난 ‘역사적 철자법’의 성격
- 역사동화 『바리왕자』의 상호 텍스트성과 설화적 요소
- ‘의존명사+이다’ 구문에 대한 양태적 고찰
- 개화기 가사에 나타난 여성의 몸 담론
- 『고금가곡』의 〈만횡청류〉 고찰
- 이육사 시의 낙원 의식 연구
- 지명어 후부요소 ‘-구미’의 재해석
- 지명어의 후부요소 ‘遷’에 관한 연구
- 영웅소설의 층위적 과업 연구
- 김지하의 ‘흰 그늘의 미학’에 관한 고찰
- 이야기판의 협력 구연과 기억의 공유
- 〈고산구곡가〉의 구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국어의 줄임말 현상에 따른 언어변이 양상과 문제점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교수법 기반 한국사 교육 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