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년-70년대 한국 철도 노동자들의 노동현장과 노동조합

이용수 142

영문명
The National Railroad Trade Union and Workplace of Railroad Industry in Korea In the 1960s-70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영수(Kim Young Su)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22집, 87~11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0-70년대 한국 철도 노동자들은 공무원임에도 불구하고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을 중심으로 하는 노동3권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행사하지 못하였다. 정부는 철도 노동자들에게 공무원으로서의 의무와 역할만을 강요하고, 철도 노동조합 역시 준국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기 때문이다. 철도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불평과 불만을 쉽게 해소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노동을 해야만 했었다. 철도 노동자들이 병영적 노무관리체제에서 억압적 통제를 받았던 노동현장을 기술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그들은 매일 아침에 군대식으로 점호를 받아야만 했었다. 이 것은 하루의 업무를 점검하는 과정이기도 했지만, 노동자들을 군대식으로 통제하고 관리는 과정이기도 했다. 철도 노동자들은 이 과정에서 구타를 당하기도 했다. 둘째, 관리자들이나 노동조합에게 순응하는 노동자들만이 교육기회 및 포상기회가 부여되었다. 불만을 공개적으로 표시하는 노동자들은 연고지와 무관하게 전근되기도 하였다. 셋째, 안전지도관은 안전수칙의 수행을 무기로 노동자들을 통제하기도 하였다. 넷째, 노사협의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은 철도청의 정책을 무조건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다섯째, 노동조합은 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해 거의 투쟁하지 않았다. 단체행동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한 경우가 거의 없었다. 노동조합은 노동자들의 대표체 권력기관으로서의 의무를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노동조합을 비판하거나 반대하는 사람들을 억압적으로 통제하였다. 철도 노동자들은 노동조합과 철도청의 요구사항들을 무조건 수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조건에서 일을 하였다. 1960-70년대 한국 철도산업의 노동현장은 병영적 노무관리체제의 한 전형으로 간주될 수밖에 없었다.

영문 초록

Railroad labors were public officials in position in the 1960s - 70s in Korea, but they had the right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unity. Nevertheless, they couldn't exercise their rights. That's because the government forced them to obey its policy as public servants, and the railroad trade union played only a small part in enforcing the governmental policy. So it was not easy for railroad labors to even tell any official his or her complaints. Following show the information and the situations that laborers had to face directly and were forced in military pattern. First, they must be inspected in every morning and given a roll call. The policy was not only the process of distributing assignment but also the attempt of managing labors in the military fashion. They were even physically and mentally abused. Second, only the labors who obeyed an official could receive a reward and an opportunity of job training. Also, many labors who revealed their complaints to an official were made to transfer to the areas regardless of their residences. Third, a safety supervisor was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labors on an excuse of safety rules. Fourth, Though there was a labor - management council, all it did was accepting all the policies made by government. Finally, the union couldn't raise its voice for the right of laborers. The union didn't fulfill its duty as a representative of labors. Rather, it oppressed labors who betrayed their complaints against the Union. The union and the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is the subject to order, and the labors must follow it unconditionally. The circumstances labors of the Railroad Industry in the 1960s - 70s in Korea had show a typical type of the military fashio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준국가기관으로서의 철도노동조합
Ⅲ. 철도 노동자들의 ‘순응’만을 요구했던 노동정책
Ⅳ. 철도 노동자들의 노동현장과 노동조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수(Kim Young Su). (2005).1960년-70년대 한국 철도 노동자들의 노동현장과 노동조합. 역사문화연구, 22 , 87-118

MLA

김영수(Kim Young Su). "1960년-70년대 한국 철도 노동자들의 노동현장과 노동조합." 역사문화연구, 22.(2005): 87-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