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너’를 통해 드러나는 김수영의 정신적 지향 연구

이용수 367

영문명
Spiritual tendency of Kim, Soo-Young which is exposed by ‘You’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희주(Kim, Hee-Joo)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4집, 111~13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김수영의 시 속에 자주 등장하는 ‘너’에 대한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김수영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이 ‘전기의 모더니즘, 후기의 참여시로 양분’하여 그 변모과정을 추적하고 시 전체를 일관하는 정신을 찾고 있으나, 그의 시에는 전기 시와 후기 시와 상관없이 ‘나’에 대한 끊임없는 사유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의 시에는 그 ‘나’에 대당되는‘너’가 자주 시에 등장한다. 이 ‘너’의 존재는 ‘반란성’의 존재로 혹은 ‘불온성’의 존재로 드러나기 도 하지만 결국에는 현대사회에서의 김수영 ‘개인’의 운명과 체험에서 드러나는 존재들이다. 현실과 이상 사이의 모순이 클수록, 그 모순의 수용을 드러내는 개인의 내면은 정체성의 분열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그 분열의 극복을 김수영은 개인과 개인과의 속박을 통해 주로 드러내는데,이 ‘너’의 모습은 비판의식을 결여한 채 형식주의에 빠져 있던 한국 모더니즘의 한계의 한 면을 드러내고 있다. 현실은 ‘나’와 ‘너’의 통합된 일치없이 존재가 불가능하다. ‘너’를 통해 시인은 현실을 비판하고 자아를 돌아보고 옹호하며, 세계와 연계하여 타협의 실마리를 찾는다. 그러므로 ‘너’의 존재는 시인의 삶에서 소통의 문제라기보다 존재자체의 문제이다. 김수영의 초기 시 <공자의 생활난>에서 대응되는 ‘너’와 ‘나’는 상실 되어가는 자아의 정신지향 면모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그가 주는 시선의 지점에 놓여 있는 대상 ‘너’는 그의 정신적 의지를 어떤 형상의 지점에 가도록 사유케 하는 ‘너’이다. 이와 더불어 <토끼>와 <달나라의 장난> 또한 자아가 추구해야 하는 무한한 과제와 그 의지를 긴밀하게 ‘너’를 통하여 연결해주고 있다. ‘너’로 호출된 토끼는 현실의 무분별한 수용을 거부하고, 주체성을 지닌 자아로서 존재하려는 시인의 열망을 강화하 는 대상이 되며 ‘팽이’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존재한다. <풍뎅이>에서는 현실에서 타협하려는 ‘나’와, 내면에 극복의지를 가지고 있는 ‘너’가 함께 일치되기를 간절히 소망하는 ‘또 다른 자아’로서의‘너’가 호출된다. 앞에서 전개된 ‘너’가 ‘나’를 사유케 하고 나의 정신적 지향을 강화시켜주는 ‘너’로 호출된다면, 여기서의 ‘너’는 ‘투영된 자아’로서 호출된다. ‘나’ 와 ‘또 다른 나’의 통합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될 때 나의 의지는 결국 극복의 맥락으로 넘어간다. 여기서 ‘너’의 호출은 ‘나’의 의지를 강화하기위한 매개물이라기보다 나의 의지를 더 드러내게 하려 는 맥락으로 호출되었다. <너를 잃고>에서의 ‘너’를 찾으려는 시도 또한 결국은 ‘나’를 찾으려는 의도이며, <더러운 향로> 또한 ‘너’인 향로와 ‘나’는 함께 일치되려는 강한 의지를 표출하는데 이 둘의 일치가 결국 현실을 함께 견디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드러내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당대 급변하는 현실을 ‘너’라는 매개물을 통하여 시인의 시선을 의미있게 바라보고, 그 시적 매개체인 ‘너’를 통하여 작가의 내면세계를 접근해 보는 것은 김 수영시의 연구영역을 더 확장하는데 의미 있는 일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rticle is to find the meaning of ‘you’ which is often shown in the poem of Kim, Soo-Young. Although the current research on his is classified into modernism of the earlier part, and participating poem of the later part chasing the procedure of changing and looking for spirit which encompassing the whole poem, this is endless personal investigation about ‘self’ in his poem whether it is earlier poem or later poem. Moreover, there exists ‘you’ which refers to ‘self’. This ‘you’ is revealed as the existence of the ‘rebellion’ or the ‘incompleteness’, but the existence of ‘you’ is eventually revealed from his destiny and experience in the modern society. As the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is getting larger, the inside of his disclosing the admission of consistency should result in the dissolution of his identity. Kim, Soo-Young often reveals the overcoming the dissolution through the individual and restriction of the individual the feature of which is disclosing an aspect of the limit of Korean modernism which has been confined to formalism lacking in criticism. It is impossible to exist without the integration of you and self in reality. Poets try to find the clues for negotiation by the connection to the world criticizing the reality, inspecting and advocating the self. Therefore, the existence of ‘you’ is concerned with the existence itself, not with the communication in the poet's life. The self corresponding to ‘you’ in , one of his early poet shows disappearing of spirit of the self. The ‘you’ on one point of his view he gives is the ‘you’ who makes it possible to reach a point of the shape pursuing his spiritual will. failed to get attention compared with the above mentioned despite of extensive research on his poem. Self in this poem is looking at ‘you’ which is the self inside. ‘You’ with the intension to overcome insid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elf desire to be integrated. He expresses the intension to overcome his spirit using the ‘shadow’ in a strong tone. This is the affection to his ‘self’. he shows that ‘you’ and self will be integrated as one by way of ‘you’. He takes ‘shadow’ as another poetic self and shows that the separation is a process to proceed to complete oneness. He puts an emphasis on how strong his will to overcome himself by figuring the shadow, the ‘you’ which is inseparable existence. It is meaningful to look at the view of the poet seriously and to perform expansive study what the reality visualized through ‘you’ and what the his spiritual resolution was.

목차

1. 들어가기
2. 김수영 시의 ‘너’의 의미
3. ‘나’를 사유케 하는 ‘너’, 강화되는 ‘나’의 정신
4. ‘나’의 투영된 자아, 일치를 갈망하는 ‘나’
5.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주(Kim, Hee-Joo). (2010).‘너’를 통해 드러나는 김수영의 정신적 지향 연구. 한국문학논총, 54 , 111-136

MLA

김희주(Kim, Hee-Joo). "‘너’를 통해 드러나는 김수영의 정신적 지향 연구." 한국문학논총, 54.(2010): 11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