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초기 문사의식과 예술가 형상의 상관성

이용수 299

영문명
Correlationship between Literary men’s Consciousness and Artist’s Figuration in the Early Modern Time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주현(Kim, Ju-Hyu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4집, 175~20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계몽의식’으로도 불리는 근대초기 남성주체들의 ‘문사의식’이 근대 초기 조선의 예술가 형상을 젠더화하는 무의식적 동력이었다는 가정 아래, 그것이 문학 이외의 예술을 특정하게 개념화하는 방식에 주목했다. 근대 초기 문학가들의 문학 행위는 제한된 범주의 작품 창작이 아니라 신문화 운동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다. 먼저 이는 다른 예술 장르에 비해 문학가들의 이른 귀국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음악, 미술전공자들이 귀국하여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시기가 1930년대였으므로 이들을 대신해 초창기에 근대 조선에서 새로운 예술 개념을 소개/형성했던 이들은 문학가들이었다. 근대 초기의 여러 매체들은 이러한 사정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 이러한 문학 행위의 위력은 문학의 외연을 확장하며 근대 음악가와 미술가를 특정한 방향으로 젠더화한다. 이광수의 <개척자>에 등장하는 화가 민의 미술론은, 남성적으로 젠더화되어 있었던 과거 선비들의 서화(書畵) 취미를 반영하듯 공적이고 민족적인 미술 개념을 드러낸다. 반면 여성적으로 젠더화되어간 음악은 음악가=기생이라는 관념을 재생산한다. 염상섭의 <사랑과 죄>는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장르 분화가 촉진되어 상대적으로 문학(가)의 역할이 축소되는 30년대에 이르면 이러한 예술가 표상도 변화하게 되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탓에 시각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method that the literary men’s consciousness of male subjectivity in the early modern times called ‘illunism (philosophy of enlightenment)’ had specially conceptualized arts except for literature on the assumption that the literary men’s consciousness was unconscious power to make art(ist)’s notion of Joseon dynasty in the same times be gendered. The literary activities of literary men in the early modern times had conducted not the creation of a work within a limited scope but the whole of New Culture Movement. Firstly, such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arly return period of writers compared with other art genres. The period that music or art majors had regularly acted after their return was 1930’s, so the people who had introduced/created a new art concept Joseon instead of the musicians and artists in the initial stage of Modern were literary men. Several media in the early modern times had clearly shown thes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And the power of such literary activities had made modern musician and artist be gendered by expanding the denotation of literature. The theory of art supported by artist Min who is a character of a work The Pioneers written 「」by Kwang-Soo Lee shows official and national art concept as reflecting the past scholars’ hobbies of paintings and writings which had been manly gendered. On the other hand, the music which had been womanly gendered reproduces the notion that a musician is same as a gisaeng(Korean geisha). 「Love & Guilt」written by Sang-Seob Yom is the representative work showing such the reproduction of a notion. Such symbol of artists had been changed in 1930’s when the role of literature (literary men) had been reduced due to promotion of genre’s differentiation. But it needs continuous study and research hereafter because there has not been studied such changes.

목차

Ⅰ. 시각 전환의 필요성
Ⅱ. 예술 개념 형성의 촉매제로서의 문학
Ⅲ. 젠더화 방향과 예술가 형상화의 실제
Ⅳ. 분화 이후의 사정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현(Kim, Ju-Hyun). (2010).근대 초기 문사의식과 예술가 형상의 상관성. 한국문학논총, 54 , 175-204

MLA

김주현(Kim, Ju-Hyun). "근대 초기 문사의식과 예술가 형상의 상관성." 한국문학논총, 54.(2010): 175-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