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북아신화에서의 ‘惡, 또는 부정적 존재들’에 대한 비교신화학적 이해

이용수 334

영문명
The Understanding of ‘Evil or Negative Beings’ in Northeast Asian Mythology by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Mythology - Focusing on the myth Geser in Buryat -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최원오(Choi, Won-Oh)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4집, 45~7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동북아신화에서 보이는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의 기원과 그 의미를 비교신화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특히 시베리아 바이칼 남동쪽에 위치한 부리야트에서 구비 전승된 <게세르> 신화를 중심으로 한국, 만족, 아이누 등의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고찰하였다. <게세르>는 티베트, 몽골, 부리야트 등지에서 전승되었거나 되고 있는 영웅신화 또는 영웅서사시의 하나로, 몽골의 <장가르>, 키르기스의 <마나스>와 함께 동북아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신화적 세계를 잘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이다. 특히 부리야트의 <게세르>는 기존연구를 통해 고조선의 <단군신화>와의 유사성이 지적된 작품일 뿐만 아니라, 동북아의 샤머니즘적 세계관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비교 고찰 결과 동북아 신화에 보이는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은 ‘자연’을 재인식하는 단계(자연의 파괴적 힘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단계→악, 또는 부정적 존재로 은유화하여 주관화하는 단계→악, 또는 부정적 존재의 세계를 구성하여 독자적 세계로 구축하는 단계)를 거쳐 규정된 것이며, 그것은 ‘인간’ 또는 ‘인간의 나라’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장(場)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의미를 가졌다. 인간이 자연의 파괴적 힘을 배제한채 살아갈 수 없는 것처럼 인간은 인간의 부정적 본성을 배제한 채 살아갈 수 없다. 그 결과 신화에서의, 인간적 본질을 성찰하기 위한 시도는‘자연의 재인식’이라는 방식을 통해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을 형상화하는 것으로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그 점에서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이 인간처럼 일정한 지역의 땅을 지배하고, 인간처럼 생활하며, 인간처럼 사고하는 ‘인문적 존재’로 형상화 된 것은 그러한 인식의 극단적 표출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s and meanings of ‘evil or negative beings’ observed in Northeast Asian myths from a viewpoint of comparative mythology. For this purpose, we answered questions raised from comparison of myth Geser transmitted orally in Buryat located to the southeast of Lake Baikal in Siberia with materials from Korea, Manchuria, Ainu, etc. Geser is one of heroic myths or heroic epics transmitted in Tibet, Mongol, Buryat, etc., and together with Jangar in Mongol and Manas in Kyrgyz, it represents well the mythological world of Northeast and Central Asia. In particular, Geser in Buryat has been reported to be similar to the Myth of Dangun in Gojoseon by previous research, and is considered a work that preserves the shamanistic world view of Northeast Asia.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e found that ‘evil or negative beings’ observed in the myths were defined through the stages to recognize ‘nature’ anew (stage of recognizing the destructive power of nature objectively → stage of subjectivizing nature by metaphorizing it into evil or a negative being → stage of constructing a separate world with evil or negative beings), and they had a meaning as a means of laying a ground for explaining ‘humans’ or ‘the human world.’ Like humans cannot live with excluding the destructive power of nature, they cannot live with excluding the negative nature in them either. Accordingly, attempts to reflect the human nature recognized ‘evil or negative beings’ through ‘re-perception of nature.’ In this sense, it is the extreme expression of the recognition to describe ‘evil or negative beings’ as ‘humanistic beings’ who rule the land of a specific area like humans, live like humans, and think like humans.

목차

1. ‘惡, 또는 부정적 존재들’이라는 것
2.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의 출현과정에 대한 비교신화학적 이해
3. 맺음말을 겸하여: ‘악, 또는 부정적존재들’의 은유화와 그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원오(Choi, Won-Oh). (2010).동북아신화에서의 ‘惡, 또는 부정적 존재들’에 대한 비교신화학적 이해. 한국문학논총, 54 , 45-77

MLA

최원오(Choi, Won-Oh). "동북아신화에서의 ‘惡, 또는 부정적 존재들’에 대한 비교신화학적 이해." 한국문학논총, 54.(2010): 45-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