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士禍期 관료문인의 形象과 漢詩史的 의미

이용수 151

영문명
The Situation of a Bureaucratic Man of Letters during the Massacre of Literati and Meaning in terms of Chinese Poetry History:focusing on Young Jae Lee-Haeng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이재숙(Lee, Jae-sook)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9輯, 243~27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연산·중종 연간 士禍와 政爭이 지속되었던 정치적 격동기를 살다간 관료문인의 현실 인식과 문학적 배경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시기는 士禍라는 정치적 굴곡을 거치면서 문인들이 각기 다양한 현실대응 자세를 보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훈구와 사림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보편적인 관료문인들에 대한 충분한 구명이 이루어지지 못한 면이 있다. 혹은, 성종조 신진사류의 명맥을 이은 道學派 시인들의 범주 안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고는 시각을 약간 달리하여 士禍라는 특수한 문학 배경을 통해 당시 관료문인들의 갈등과 고뇌, 현실에 대한 인식이 詩文에 어떠한 양상으로 표출되었는지 살핀 것이다. 士禍期 시인들은 성종조 신진사류의 문인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음은 물론이거니와, 成宗朝 다양한 문집의 편찬으로 인해 詩作의 경향이 매우 다양화되면서 특히 杜甫를 學詩의 전범으로 삼았다. 따라서 사화기 관료문인들에게서 杜甫의 영향과 수용을 살펴보는 일은 漢詩史의 흐름에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士禍期 시인들에게 있어서 유배와 죽음 등, 불가항력적인 정치적 좌절과 고통들은 오히려 적극적인 문학제재가 되었다. 사화기 시인들은 불합리한 현실을 강렬하고 예리하게 시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특히 두보의 憂國忠節과 不遇를 自己化하여 정신을 수용하고 있다. 시의 표현면에서도 사화기 시인들은 다양성을 구현하고 있다. 經國濟世가 이루어지지 않는 불합리한 현실을 개탄하고 처절한 고통들을 유학의 범주 안에서 莊子的 思考에 의지해 극복하는 긍정적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학 배경에서 성취된 작품들은 자연스러운 정감의 토로와 함께 長篇의 古詩를 대거 생산해 내는 바탕이 되었다. 현실의 울결함에서 오는 자신의 심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하기에 용이한 장편 고시를 의도적으로 택한 것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and literary background of a bureaucratic man of letters who went through the period of a political turbulence in which the purge of literati and a political strife lasted during the reign of Yeonsan and King Jungjeong. This period witnessed the men of letters showing a variety of postures to cope with realities individually while undergoing political ups and downs of a massacre of literati. There remain some parts of the existing research works that failed to sufficiently inquire into popular bureaucratic men of letters because they generally did research in a dichotomous frame of Hoongu and Salim. In some cases, the existing research works have put their focus in the category of poets belonging to Confucian moralist school who retained the life of the rising scholars during the period of King Jungjong. This research, from a little different angle, intended to take a look at in what aspect the conflicts, agonies, and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which the bureaucratic men of letters had at that time were exhibited in their poetry and prose through the special literary background of a massacre of literati.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oets in the period of the purge of literati were much influenced by the men of letters belonging to the rising sorts of scholars, and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 trend of poetry-writing due to the compilation of divers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during the period of King Seongjong, they had Dubo, more than anyone else, as their standard of poetry-learning. Accordingly, taking a look at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of Dubo through the works of bureaucratic men of letters during the purge of scholars is really significant in the stream of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To the poets during the period of the purge of scholars, irresistible political frustration and affliction, such as exiles and death, became a rather aggressive literary subject themes. The poets during the purge of scholars are found to configurate irrational reality in an intense and pungent form of poetry; particularly, they accepted the spirit of Dubo by identifying themselves with his intense patriotism and misfortune. Even in the expressions in their poems, the poets during the purge of scholars are found to embody a diversity. They are showing a positive attitude of tiding over their gruesome afflictions by relying on Zhungz's ideology in the category of Confucianism while deploring irrational reality of non-fulfillment of the right administration and peaceful ruling. The works achieved in such a literary background, together with their outpouring of natural sentiment, became the basis of creating long pieces of ancient poems (free verses) in great number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y seemed to select long pieces of free verses intentionally that made it easier for them to more effectively display their own state of mind arising from being feeling unbearably heavy with real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士禍期 詩壇과 창작 배경의 특징
Ⅲ. 士禍期 漢詩史의 흐름과 양상-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숙(Lee, Jae-sook). (2009).士禍期 관료문인의 形象과 漢詩史的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29 , 243-275

MLA

이재숙(Lee, Jae-sook). "士禍期 관료문인의 形象과 漢詩史的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29.(2009): 243-2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