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암 박지원의 「綠鸚鵡經序」 다시 읽기

이용수 412

영문명
Rereading Yeonam Park Jiwon’s “Nokaengmukyungsuh”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이홍식(Lee Hong sik)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9輯, 303~32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암 박지원의 「綠鸚鵡經序」는 낙서 이서구의 『綠鸚鵡經』에 붙인 서문이다. 그 동안 구성과 내용의 난해함으로 인해 연구자들의 관심 밖에 있었던 작품이지만, 작품의 완성도가 높고 북학파 문인들의 완물취향과 공안파 문학의 수용 양상을 살피는 데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어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최근 「녹앵무경서」의 비평적 의미를 꼼꼼히 분석한 논문이 발표되어 고무적이다. 다만 그 논의의 대체가 ‘이서구와 『녹앵무경』에 대한 박지원의 비판’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납득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녹앵무경서」에 대한 새로운 읽기를 시도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이서구의 『녹앵무경』은 유득공의 『발합경』 및 이덕무의 『윤회매십전』과 마찬가지로 당대 ‘총서류에 대한 열독과 공안파 문학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덕무와 유득공의 評批에 박지원의 서문이 더해져 완전한 꼴을 갖추게 된 저작이다. 따라서 「녹앵무경서」에서 이서구와 『녹앵무경』에 대한 비판을 읽어내기는 어렵다. 오히려 박지원은 『녹앵무경』이 이서구의 慧悟에서 비롯된 것임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이서구를 창작을 권면하고, 도불이 아닌 문학의 관점에서 『녹앵무경』에 접근할 것을 주문함으로써 왜곡된 해석과 비판을 경계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박지원이 긍정한 慧悟는 공안파의 세계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박지원을 비롯한 이덕무·유득공·이서구 등은 이 慧悟를 긍정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완물상지의 두꺼운 벽을 허물고 일상의 소소한 세계를 문학으로 편입시켰으며, 이들을 활용한 새로운 문학 창작을 시도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물이 바로 이서구의 『녹앵무경』이다. 혜오는 당대 북학파 문인들이 문학적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중요한 매개였던 셈이다.

영문 초록

The “Nokaengmukyungsuh(綠鸚鵡經序)” of Yeonam(燕巖), Park Jiwon(朴趾源) is a preface attached Nakseo Lee Seogu’s “Nokaengmukyung(綠鸚鵡經)”. Due to reconditeness of structure and contents researchers didn’t have interested in “Nokaengmukyungsuh”. But it is worth studying because it is in-depth and contains valid informations about Bukhak Schooler's taste of concerns about materials and acceptance of Gongan School’s literature. In recent days, a paper carefully analyzing critical meaning of “Nokaengmukyungsuh” is encouraging. However, because the paper concentrated on Park Jiwon’s criticism on Lee Seogu and “Nokaengmukyung”, I didn’t understand several things in the paper. Therefore I tried to reread about “Nokaengmukyungsuh”, as a result I reached following conclusion. “Nokaengmukyung” written by Lee Seogu arose from eager reading in serial publishing and interests in Gongan School’s literature likewise You Deukgong’s Balhapkyung and Lee Dukmu’s Yoonhoemaesipjeon(輪回梅十箋). It became a whole work adding not only criticism of You Deukgong and Lee Dukmu but also Park Jiwon's preface. So in “Nokaengmukyungsuh” we didn’t look at criticism about Lee Seogu. and “Nokaengmukyung”. Park Jiwon clearly announced that “Nokaengmukyung” arose from Lee Seogu’s shrewdness(慧悟), then he recommended Lee Seogu writing works. Also he ordered him to approach “Nokaengmukyung” not in a view of Buddhism and Taoism but in a view of literature. So he took precautions against distorted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The shrewdness approved by Park Jiwon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world view of Gongan School. As Park Jiwon, You Deukgong and Lee Dukmu affirmed the shrewdness and accepted positively, they broke a wall of “Wan Mul Sang Zhi(玩物喪志- Being indulged in exterior thing make on lose his intention)” and inserted the little world of routines into literature. So they tried to write new literary works using these things. Lee Seogu’s “Nokaengmukyung” was a outcome. The shrewdness was a mediation that could guarantee literary identifications of Bukhak Shool’s writer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서구의 『녹앵무경』 창작과 그 주변 맥락
Ⅲ. 「녹앵무경서」 새로 읽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홍식(Lee Hong sik). (2009).연암 박지원의 「綠鸚鵡經序」 다시 읽기. 동양한문학연구, 29 , 303-328

MLA

이홍식(Lee Hong sik). "연암 박지원의 「綠鸚鵡經序」 다시 읽기." 동양한문학연구, 29.(2009): 303-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