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孟子』 解釋의 拮抗的 側面에 대한 一考

이용수 207

영문명
A Consideration of the Antagonistic Aspect of the Interpretation of 『Mengzi』:Focusing on the opinions of Joseon scholars concerning ‘the assertion that Mengzi not raised the Zhou Dynasty(孟子不尊周說)’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함영대(Ham, Young-dae)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9輯, 423~45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孟子』의 해석에서 程朱가 불씨를 지핀 ‘孟子不尊周說’은 그 역사적 현실에 기초한 경전 이해의 관점으로 대체로 타당하고 수용할 만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조선학자들은 다양한 논증을 통해 각각 ‘맹자불존주설’과 ‘孟子尊周說’을 입증하면서 치열한 논리적 대결을 펼쳤다. 아울러 이러한 길항적 이해의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맹자가 周를 업신여기거나 王統을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맹자는 엄격한 군신관계에 대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음을 논증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조선 학자들이 天命의 변화와 백성을 위한 保民의 관점은 수용하면서도 당대 군왕에 대한 충성은 여전히 거역할 수 없는 가치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새삼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조선의 학자 가운데 程朱의 견해에 호응하여 ‘맹자불존주설’을 긍정한 학자들은 대체로 정자와 주자의 견해를 받아들이면서 전면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주장은 보완하려고 했다. 반면, ‘맹자존주설’을 주장한 학자들은 周室이 쇠약해졌다는 정주의 최초 설정을 거부하거나, 또는 맹자가 권한 王政이 일상생활에서의 왕정이라고 이해하는 등 그 논점을 반박하거나 전환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최대한 尊周의 명분과 의리를 지키려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한편 尊周와 行王의 다른 관점에서 절충하려는 시도도 제시되었다. 이러한 경전해석의 뚜렷한 분기는 다시 경전주석의 외부, 즉 주석자의 현실인식 내지 정치인식을 재검토할 필요를 제기한다. 정주의 견해를 수용하여 맹자불존주설을 지지했지만 그들의 다양한 논증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이는 일방적인 수용의 방식이라기보다는 당대 정치인식에 대한 학문적 대응이며, 그것이 경전의 주석을 통해 표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정주의견해를 조술하기보다는 자신의 입론을 통해 그 견해를 수용했던 만회 권득기나 한주 이진상의 경우, 그 점은 더욱 두드러진다. 時勢에 따른 역사 변화를 민감하게 포착했던 성호 이익이나 철저한 사실고증을 통해 역사를 파악하려고 한 순암 안정복은 尊周의 문제에 대해서 현실적 이해보다 이념적 경사를 보여준다. 그들은 적지 않은 논증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정당화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그 저류에는 결국 존주의 입장을 관철시키려는 의도가 논증의 목표로 상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그들이 처한 당파적 입장과 정치적 현실에 기초하여 새롭게 검토해 보아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 경전에 기초하여 논증하고 있지만 강한 의미론적 해석을 관철시키고 있는 성호나 격한 반응으로 집요한 존주의 관점을 견지한 순암의 태도는 경전해석의 외부적 측면에서 충분히 재음미할 만하다. 한편 行王과 尊周의 관점에서 비슷한 논증의 방식을 취하면서도 결국은 다른 결론에 도달한 성호와 다산의 分岐 역시 경전 해석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영향에 주목해야할 이유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interpretation of 『Mengzi』, ‘Mengzi Buljonjuseol(孟子不尊周說) -the assertion that Mengzi not raised the Zhou Dynasty’, which kindled a debate by Jeongju(程朱), was valid and acceptable to some extent from the aspect of its historical situation or an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However, regarding this issue, Joseon scholars unfolded keen logical confrontations while proving ‘Mengzi Buljonjuseol’ and ‘Mengzi Jonjuseol(孟子尊周說)’, respectively, through various demonstrations. Also, leaving the view of the antagonistic understanding of whether Mengzi raised Zhou or not, Mengzi did not look down on Zhou or negate the Royal line. Rather, he strongly insisted that it had a strict ideology of a sovereign-subject relationship. This confirms that Joseon scholars accepted royalty for the then Imperial family and valued it still as being one that couldn't be disobeyed while accepting the view of the change in Providence or protection of the people. In the meantime, Joseon scholars, who advocated 'Mengzi Buljonseol' in favor of the view of Jeongju, presented the following complementary view once after accepting the views of Jeongja(程子) and Zhuzi(朱子), whereas scholars who insisted on ‘Mengzi Jonjuseol’ assumed an attitude toward keeping the justification and loyalty of Jonju at the maximum by refuting or shifting its disputed point by either refusing to agreesing to reetial assumption of the understanding of Jeongju, in other words that the Zhou dynasty had become weakened, or by understanding that the monarchy recommended by Mengzi was the monarchy in ordinary life. This was a view that established a strict sovereign-subject relationship, and at the same time, fully approved the Royal line in the authority of a king. This proposes a need to review the recognition of reality or the recognition of politics of the outside of the scriptural annotations, namely, annotators, again. Although they supported Mengzi Buljonseol by accepting the view of Jeongju, as seen in their various demonstrations, it is rather their academic response to the recognition of the then politics and their expression through annotations, rather than a sort of unilateral acceptance. As regards Manheui or Hanju, who accepted the view of Jeongju through their establishment of the view rather than their propagating the view, either of them makes such an understanding convincing. Also, it is interesting that Seongho, who grasped historical changes according to historical fac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sensitively, or Sunam, who tried to identify historical reality through complete historical research of facts, demonstrated an ideological thought rather than reality toward the issue of jonju. Through not a few demonstrations, they tried to justify their view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ir intention to accomplish the view of jonju on that basis was eventually higher. Meanwhile, the divergence of Seongho and Dasan, who reached different conclusions after all while taking the same type in terms of the view of Haengwang and jonju, also offers a reason to pay attention to diverse effects occurring outsid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정자와 주자의 ‘孟子尊周說’
Ⅲ. 朝鮮 學者들의 ‘孟子尊周說’에 대한 拮抗的 解釋
Ⅳ. 『孟子』 解釋의 拮抗的 側面의 意義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영대(Ham, Young-dae). (2009).『孟子』 解釋의 拮抗的 側面에 대한 一考. 동양한문학연구, 29 , 423-452

MLA

함영대(Ham, Young-dae). "『孟子』 解釋의 拮抗的 側面에 대한 一考." 동양한문학연구, 29.(2009): 423-4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