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아 야간 발작의 임상적 고찰

이용수 91

영문명
Clinical Features of Nocturnal Seizure in Childhood
발행기관
대한소아신경학회
저자명
이준수(Jun Su Lee) 김정(Jung Kim) 유황재(Hwang Jae Yoo)
간행물 정보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0권 제2호, 248~254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야간발작은 임상에서 흔히 마주치는 질환이지만, 소아에서는 그 연구가 드물어 야간발작을 보인 환아들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 및 경과를 조사하여 치료에 대한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마산삼성병원 소아과에 간질로 진단받고 치료 중인 환아 중에 수면시에만 발작을 보인 31례의 환아들의 연령 및 성비, 발작 형태, 뇌파소견, 뇌영상소견, 치료 및 경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1) 남녀의 성비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고, 발생 연령은 3세에서 12세까지였다 2) 발작형태는 부분발작이 30례(96.8%)였으며, 이 중에 2차성 전신화 발작이 21례(67.7%)로 대부분이었다. 3) 뇌파 소견상 부분발작 30례 중에 중심측두부 간질파를 보인 경우가 17례(54.8%)로 가장 많았으며, 후두부가 5례(16.1%), 중심부가 4례(12.9%)였다. 뇌영상검사상 비정상 소견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4) 원인은 양성롤란딕간질이 24례, 양성후두엽간질이 5례, 야간 전두엽 간질이 1례, 각성시 강직간대성 간질이 1례의 순으로 나타났다. 5) 28례(90.3%)에서 단독요법만으로도 발작이 조절되었으며, 3례는 add-on therapy로서 2가지 약물을 사용한 후에 더 이상의 발작은 없었다. 결 론: 소아에서 야간 발작은 대부분 2차성 전신화 발작 형태를 보이는 부분발작으로서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예후가 양호한 질환이므로 항경련제 치료에 있어 valproic acid보다는 carbamazepine 이나 oxcarbazepine을 단독 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Nocturnal seizure is a common seizure disorder in childhood. But there are a few study about nocturnal seizure. To be a great of help, We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ponse of treatment and prognosis of nocturnal seiuzure in childhood. Metho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1, We selected patients who had nocturnal seizure in epilepsy patients. Total 31 patients was selected and we investigated age distribution, sex ratio, type of seizure, EEG finding, brain imaging study, treatment and prognosis. Results: Man and woman's rati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age distribution was mostly from 3 years old to 12 years old. Partial seizure was showed in 30 patients (96.8%). Among that patients secondary generalization of partial seizure was showed in 21 patients(67.7%). In EEG, epileptiform discharges in centrotemporal region were showed in 17 patients(54.8%), occipital region in 5 patients(16.1%), central region in 4 patients (12.9%). Brain imaging studies were normal in all patients. The most common cause of nocturnal seizure was 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24 patients, 77.4%). 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occipital paroxysms were showed 5 patients(16.1 %). Nocturnal frontal lobe epilepsy was showed 1 patient(3.2%). 28 patients(90.3%) were treated with monotherapy. They has been no seizure during 6 months after treatment. 3 patients(9.7%) were treated with two AED therapy. They has been also no seizure during 6 months after add-on therapy. Conclusion: Nocturnal seizure in childhood was mostly occurred from 3 years old to 12 years old. Mostly they were partial seizure with secondary generalization and good response on AED medication and good prognosis. Therefore carbamazepine or oxcarbazepine monotherpy is more effective than valproic aci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수(Jun Su Lee),김정(Jung Kim),유황재(Hwang Jae Yoo). (2002).소아 야간 발작의 임상적 고찰.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0 (2), 248-254

MLA

이준수(Jun Su Lee),김정(Jung Kim),유황재(Hwang Jae Yoo). "소아 야간 발작의 임상적 고찰."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0.2(2002): 248-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